저자 소개
<b>David R. Beukelman</b>
뷰켈먼(Beukelman) 박사는 네브래스카대학교 링컨 캠퍼스에서 의사소통장애를 담당하고 있는 바클리 교수이며, 마돈나재활병원(Madonna Rehabilitation Hospital)에 소속된 재활과학 및 공학연구소(Institute for Rehabilitation Science and Engineering)의 선임연구원이다. 그는 AAC-RERC (Rehabilitation Engineering Research Center on Communication Enhancement)의 연구 파트너이며, 폴 브룩스 출판사에서 발행하는 보완대체의사소통 시리즈의 공동 편집자이기도 하다. 뷰켈먼 박사는 네브래스카대학교 의료원의 먼로-메이어 유전 및 재활연구소(Munroe-Meyer Institute for Genetics and Rehabilitation)에서 연구와 교육 감독자로 활동한 바 있다. 또한 워싱턴대학교병원 의사소통장애 및 보완의사소통 프로그램의 책임자로 일했으며, 워싱턴대학교 시애틀 캠퍼스의 재활의학과 조교수를 역임하였다. 뷰켈먼 박사는 아동과 성인의 보완의사소통 및 말운동장애 분야 전문가다.
<b>Pat Mirenda</b>
미렌다(Mirenda) 박사는 발달장애인 대상의 보완의사소통과 긍정적 행동 지원에 전문성을 지닌 박사급 행동분석전문가(Board Certified Behavior Analyst: BCBA-D)다. 브리티시컬럼비아대학교 교육·상담심리학 및 특수교육학과 교수이며, 브리티시컬럼비아대학교 학제적 자폐 연구 및 협력센터(Centre for Interdisciplinary Research and Collaboration in Autism)의 센터장이다. 미렌다 박사는 네브래스카대학교 링컨 캠퍼스 특수교육 및 의사소통장애학과에서 강의한 바 있으며, 1998년부터 2002년까지 학술지 「보완대체 의사소통」 편집자로 활동하였다. 2004년에는 미국 언어청각협회(American Speech-Language-Hearing Association)의 펠로우로 선정되었고, 브리티시컬럼비아대학교에서 킬람교수상(Killam Teaching Prize)을 수상했으며, 2008년에는 국제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의 펠로우로 선정되었다. 미렌다 박사는 다수의 책 챕터를 저술하고 연구물을 출판하였으며 보완대체의사소통, 통합교육, 발달장애, 자폐 및 긍정적 행동 지원 등 다양한 과목을 가르치며 폭넓게 강의를 해 오고 있다. 그녀가 공동 편집한 책, 『자폐범주성장애와 AAC(Autism Spectrum Disorders and AAC)』는 2009년 12월에 출판되었다.
<b>/도움 주신 분들/</b>
볼(Ball) 박사는 네브래스카대학교 링컨 캠퍼스에서 박사학위를 받았고 보완대체의사소통과 말운동장애에 관심을 갖고 있다. 박사는 AAC에 의존하는 복합적인 의사소통요구를 지닌 사람들과 함께하면서 25년 이상 언어치료사로 일해 왔다. 특히 근위축성 측색경화증에 대해 관심을 갖고 연구하고 있으며 AAC, 마비말장애 및 말 실행증에 관해 저술해 오고 있다.
페이거(Fager) 박사는 마돈나 재활병원의 재활과학 및 공학 연구소에서 연구원이자 AAC 전문가로 일하고 있다. 외상성 뇌손상, 뇌간 뇌졸중, 근위축성 측색경화증, 파킨슨병과 같은 신경학적 질환을 지닌 사람들의 말장애를 주로 다룬다.
개릿(Garret) 박사는 펜실베이니아 주 피츠버그에 있는 자신의 개인치료실에서 실어증과 뇌손상으로 인해 복합적인 의사소통장애를 갖게 된 사람들을 치료하고 있다. 그녀는 버펄로대학교와 플로리다 주립대학교 소속 동료들과 함께 중도실어증, 상호작용, 의사소통지원전략 등의 연구 프로젝트를 공동 진행하고 있다.
핸슨(Hanson) 박사는 위스콘신대학교 매디슨 캠퍼스에서 석사학위를, 네브래스카대학교 링컨 캠퍼스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그녀는 AAC와 말운동장애 연구에 관심을 갖고 있다. 임상과 감독은 전 생애에 걸쳐 복합적인 의사소통 요구를 지닌 사람들에 대한 AAC 서비스 제공 분야에 집중되어 있다.
래스커(Lasker) 박사는 AAC 기법이 유용한 후천성 신경 의사소통장애 성인, 특히 실어증 환자의 평가와 치료에 관련된 수많은 논문과 책(챕터)들을 발간하였다. 그녀는 중도 의사소통장애 성인과 그들의 의사소통 파트너를 위한 AAC 평가 프로토콜, 맥락 중심 중재, 파트너 훈련 및 AAC 접근법 수용 등을 다룬 이슈들을 탐색하고 있으며, 관련 주제들을 국내외에서 지속적으로 발표해 오고 있다.
라이트(Light) 박사는 펜실베이니아 주립대학교 의사소통장애학과에서 힌츠가 석좌교수(Hintz Family Endowed Chair)로 일하고 있다. 그녀는 AAC 분야와 관련된 연구, 전문가 훈련 및 서비스 제공 등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현재 AAC-RERC의 프로젝트 책임자 중 한 명이며, 미국장애재활연구소(National Institute on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Research)가 지원하는 가상 연구 컨소시엄(virtual research consortium)의 일원이다. 박사는 수많은 학술지 논문, 챕터 및 책을 저술하였고, AAC 분야의 연구와 교육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수많은 상을 수상하였다.
맥노튼(McNaughton) 박사는 보완의사소통과 보조기술, 부모 및 교육팀 구성원들과 함께 일하기 위한 협력 기술 등의 과목을 가르치고 있다. 박사는 AAC 의존자를 위한 문해교수와 중도장애인의 고용지원 연구에 관심을 갖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