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이 책은 지난 2013년 미국에서 출판된 『Gerontology: Perspectives and Issues』 4판을 번역한 것이다. 1990년에 출판된 1판의 목적은 노년학 분야를 통합하는 패러다임을 분명하게 하고 노년학의 이론적 및 실제적 연구에 대한 종합적인 리뷰를 제공하는 것이었다. 1997년에 출판된 2판은 다학문적 주제의 넓은 범위를 다루는 장을 제공함으로써 이러한 맥락을 이어 갔다. 3판에서는 노년학의 핵심적인 질문에 초점을 맞춘 노년학적 질문의 광범위한 개요를 제공하는 좀 더 명확한 다학문적 접근을 사용함으로써 독자의 노년학적 시각을 발달시킬 목적으로 본질적인 재개념화와 재구성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번 4판은 지난 3판의 전통을 그대로 잇는다.
노년학은 무엇인가? 우리는 왜 노화하는가? 노화는 어떻게 몸과 마음에 영향을 미치는가? 사회적 맥락은 어떻게 노화와 인생주기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가? 역사, 문화, 전기는 어떻게 인생주기에 영향을 미치는가? 노인집단의 욕구와 흥미는 무엇이고, 그들은 어떻게 생성되고 표현되는가? 이 책은 이러한 질문에 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노화와 관련하여 다학문적 접근을 시도하는 과목에 이 책이 이상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노화에 관한 생물학, 심리학 혹은 사회학의 부교재로도 유용할 것이다. 이러한 과목에서 질문의 범위가 확장되기를 기대한다. 어떻게 사용하든지 간에, 각 장의 전문성과 명확성은 학부의 고학년이나 대학원생 모두에게 도움이 될 것이다. 노화를 광범위하고 다학문적으로 이해하도록 격려하고 있는 이 책을 통해 현재의 노년학자들과 다음 세대의 노년학자들은 노년학적 시각을 지속적으로 발달시킬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