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검색
MY
영유아발달(개정판)
저자 : 이 영, 이정희, 김온기, 이미란, 조성연, 이정림, 박신진, 유영미, 이재선, 신혜원, 나종혜, 정지나, 문영경
페이지 : 384p
  • 가격
  • ISBN
  • 발행일
  • 판형
  • 제본
  • 수량
  • 20,000원
  • 978-89-997-1175-6 93370
  • 2017-03-20
  • 4x6배판
  • 양장

도서자료

강의용 PPT는 PC에서만 다운이 가능합니다.(*교수회원만 가능)

내용

   ‘영유아발달’은 인간 발달 과정의 초기에 해당하는 특별한 시기의 발달을 다루는 학문이다. 2009년에 『영유아발달』을 처음 출판하였을 때는 태내기부터 6세 이전까지의 발달을 다루었다가 2015년에 『영아발달』과『유아발달』로 세분화하고 태내기부터 3세 이전까지의 발달을 『영아발달』에서, 3세부터 6세 이전까지의 발달을 『유아발달』에서 좀 더 상세하게 다루었다. 이번에 다시 영유아기를 함께 다루는 책으로 태내기부터 6세 이전까지의 발달을 다루는『영유아발달(개정판)』을 출판하게 되었다. 따라서 이 책은 『영유아발달』『영아발달』『유아발달』의 내용에 기초를 두고 재구성한 것이다.
   이 책은 장차 현장에서 영유아를 지도하거나 다루어야 하는 영유아보육교사, 유아교사, 아동상담사, 아동치료사, 아동지도사, 아동복지사 그리고 영유아에 대한 전문적 지식과 지적 호기심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에게 기초적인 지식과 실제적 도움을 주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동시에 이 책은 장차 영유아발달에 관한 연구자가 되기를 희망하는 사람들에게도 연구를 위한 자극과 정보 그리고 교육적∙치료적 적용을 위한 정보 등에서 실제적인 도움을 주고자 한다. 이 책을 읽고 공부하는 독자들이 각자의 입장에서 이 책의 내용을 지식이나 정보로 이해하고 습득하는 데 그치지 않고 실제 생활 현장에서 창조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되기를 기대해 본다.

목차

제1장 영유아발달 이해의 기초
1. 영유아기 발달의 특성
2. 발달의 개념과 원리
1) 발달의 개념
2) 발달의 원리
3. 발달의 영역 및 시기 구분
1) 발달의 영역
2) 발달의 시기 구분
4.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 유전적 요인
2) 환경적 요인
3) 유전과 환경 간의 상호작용
5. 발달 연구의 주요 쟁점
1) 연속성과 불연속성
2) 발달적 변화의 경로
3) 영유아기 경험의 중요성
4) 영유아기 발달의 미래 예측 가능성
6. 영유아발달의 연구 동향과 전망
1) 영유아발달 연구의 역사
2) 영유아발달 연구의 전망

제2장 발달이론
1. 생물학적 관점
1) 게젤의 성숙이론
2) 동물행동학 이론
2. 정신분석적 관점
1) 프로이트의 심리성적이론
2) 에릭슨의 심리사회적이론
3. 학습이론적 관점
1) 고전적 조건형성이론
2) 조작적 조건형성이론
3) 사회학습이론
4. 인지이론적 관점
1)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
2) 비고츠키의 사회문화적 인지이론
3) 정보처리이론
5. 생태학적 관점

제3장 영유아발달의 연구방법
1. 영유아발달 연구의 이해와 목적
1) 과학적 연구의 이해
2) 영유아발달 연구의 목적
2. 자료 수집 방법
1) 관찰법
2) 질문지법
3) 면접법
4) 검사법
3. 연구설계
1) 사례연구
2) 상관연구
3) 실험연구
4. 영유아발달 연구의 접근방법
1) 종단적 접근방법
2) 횡단적 접근방법
3) 단기 종단적 접근방법
5. 영유아발달 연구에서의 윤리적 문제
1) 연구대상의 권리와 복지
2) 연구의 진실성

제4장 태내기
1. 태내 발달단계
1) 발아기
2) 배아기
3) 태아기
2. 태내 발달에 영향을 주는 요인
1) 유전적 이상
2) 환경 요인에 의한 이상

제5장 출산과 신생아기
1. 출산
1) 출산 징후
2) 출산 과정
3) 출산 방법
4) 출산 과정에서의 문제
2. 신생아기
1) 신생아의 신체적 특징
2) 신생아의 적응
3) 신생아의 반사행동
4) 신생아 변별 검사

제6장 영아기
1. 신체발달
1) 신체적 성장
2) 뇌의 성장
3) 생리적 기능
4) 운동 기능
2. 인지발달
1) 영아기 사고발달
2) 감각과 지각
3. 언어발달
1) 언어의 요소
2) 영아기 언어발달
3)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
4. 사회・정서발달
1) 정서
2) 기질
3) 애착
4) 사회성

제7장 유아기
1. 신체발달
1) 신체적 성장
2) 운동 기능
3) 생리적 기능
2. 인지발달
1) 유아기 사고의 특성
2) 기억
3) 지능과 창의성
3. 언어발달
1) 언어발달이론
2) 유아기 언어발달
3) 언어발달과 환경
4. 사회・정서발달
1) 정서
2) 자아
3) 성역할
4) 도덕성
5) 또래관계

제8장 영유아기 발달 이상
1. 발달 이상의 개념
2. 영유아기 발달 이상
1) 반응성 애착장애
2) 분리불안장애
3) 우울장애
4)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5) 자폐스펙트럼장애
6) 지적장애
7) 말더듬증
8) 틱장애
9) 반항장애

저자 소개

<b>이 영</b>

미국 Cornell University, Dept of Human Development & Family Studies 졸업(Ph.D.)

현 연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명예교수



<b>이정희</b>

연세대학교 대학원 아동학과 졸업(Ph.D.)

전 우송정보대학 유아교육과 교수



<b>김온기</b>

연세대학교 대학원 아동학과 졸업(Ph.D.)

현 푸르니보육지원재단 상임이사



<b>이미란</b>

연세대학교 대학원 아동학과 졸업(Ph.D.)

현 동양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



<b>조성연</b>

연세대학교 대학원 아동학과 졸업(Ph.D.)

현 호서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



<b>이정림</b>

미국 Texas Tech University, Dept of Educational Psychology 졸업(Ph.D.)

현 육아정책연구소 연구위원



<b>박신진</b>

연세대학교 대학원 아동∙가족학과 졸업(Ph.D.)

현 연세대학교 심바이오틱라이프텍 연구원 전문연구원



<b>유영미</b>

연세대학교 대학원 아동∙가족학과 졸업(Ph.D.)

현 서경대학교 아동학과 교수



<b>이재선</b>

연세대학교 대학원 아동∙가족학과 졸업(박사과정 수료)

현 숭실사이버대학교 아동학과 외래교수



<b>신혜원</b>

연세대학교 대학원 아동∙가족학과 졸업(Ph.D.)

현 서경대학교 아동학과 교수



<b>나종혜</b>

미국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Dept of Human Development & Family Studies 졸업(Ph.D.)

현 한남대학교 아동복지학과 교수



<b>정지나</b>

연세대학교 대학원 아동∙가족학과 졸업(Ph.D.)

현 신한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



<b>문영경</b>

연세대학교 대학원 아동∙가족학과 졸업(Ph.D.)

현 대전대학교 아동교육상담학과 교수

알림

X

알림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