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들어 뇌파에 대한 새로운 이해와 적용에 많은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다. 앞으로 뇌파는 단순히 의료뿐만 아니라 뇌과학의 중요한 연구도구이자 미래 산업의 중요한 매개가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미 영화와 소설 등에서뿐만 아니라 실제로 뇌파를 이용한 창의적인 상상과 적용은 급격히 증가하며 발전하고 있다. 이 책은 크게 5개 장으로 나누어져 있다. 제1장은 뇌파의 역사와 원리로, 뇌파의 역사 및 기본 원리를 포괄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제2장은 뇌파의 구성 및 검사법에 대한 부분으로 뇌파기기의 구성과 측정방법 그리고 전처리 방법 등에 대해 다루고 있다. 제3장은 뇌파 분석법에 대한 부분으로 정량화 뇌파 및 사건유발전위를 소개하고 계산을 통한 뇌파의 분석과 신호원 영상 분석까지 가능한 뇌공학적 내용을 심도 있게 소개하려고 노력하였다. 이 책에서 소개된 방법 이외에도 다양한 계산적 뇌파 분석법이 계속해서 발전하고 있으므로 향후 지속적인 개정·보완이 필요하다는 데 공감한다. 제4장은 임상질환과 뇌파에 대한 부분으로 각종 신경정신질환과 뇌파의 관련성을 소개하고 있다. 여기서는 뇌파가 어떻게 여러 심리적·정신적 현상을 반영하는지 그동안의 연구 결과들을 소개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제5장은 뇌파의 응용에 대한 부분으로, 뇌파 기반 뇌•컴퓨터 접속과 뉴로피드백 등을 소개하고 있다.
머리말 제1장 뇌파의 역사와 원리 1. 뇌파의 역사 2. 뇌파의 생성 원리 제2장 뇌파의 구성 및 검사법 1. 뇌파측정기기 2. 몽타주와 고밀도 뇌파 3. 뇌파 측정 4. 뇌파 전처리: 잡음/잡파 제거 제3장 뇌파 분석법 육안검사 1. 육안검사 정량뇌파 1. 뇌파의 정량화 분석 2. 극서파, 서파 및 델타파 3. 세타파 4. 알파파 5. 베타파 6. 감마파 사건 관련 전위 1. P50 2. MMN 3. N170의 정의 및 의미 4. P300 5. 오류 관련 음전위 특수 뇌파 분석 1. 사건(사상) 관련 비동기화/동기화 2. 단일 채널 선형/비선형 뇌파 분석 3. 다중 채널 선형/비선형 뇌파 분석 4. 신호원 영상법 및 로레타 5. 느린피질전위 6. 세타-감마 동조현상 제4장 임상질환과 뇌파 1. 치매와 뇌파 2. 정량뇌파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3. 조현병의 뇌파 4. 우울증의 뇌파 5. 불안장애의 뇌파 6. 강박장애의 뇌파 제5장 뇌파의 응용 1. 뇌파 기반 뇌-컴퓨터 접속 2. 뉴로피드백
<b>김도원</b> 전남대학교 의공학과 교수 <b>김명선</b> 성신여자대학교 심리학과 교수 <b>김성필</b> 울산과학기술원(UNIST) 디자인 및 인간공학부 교수 <b>박영민</b> 인제대학교 일산백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b>박진영</b> 연세대학교 강남세브란스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b>배경열</b>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b>이승환</b> 인제대학교 일산백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b>이재원</b> 이지브레인 정신건강의학과 원장 <b>임창환</b> 한양대학교 생체공학과 교수 <b>전양환</b> 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b>진승현</b> (주)아이메디신 기업부설연구소 연구소장 <b>채정호</b>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b>황한정</b> 금오공과대학교 메디컬IT융합공학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