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사회복지정책이 장래의 유망한 성장산업으로 각광받고 있는 우리나라의 경우와는 달리, 선진국은 복지국가의 지속 가능성에 대한 위기의식이 점차 사회구성원 간 공감대를 형성해 가고 있으며, 따라서 개별 국가는 사회복지정책의 대대적인 체질개혁을 시도하고 있다. 이러한 세계적인 동향을 바라보면서 우리는 복지국가의 성장이 가져다줄 수 있는 순기능과 역기능을 동시에 파악할 수 있는 합리적인 시각을 갖추도록 노력할 필요가 있다.
이 책은 크게 다음과 같은 세 가지 목표를 중심으로 집필하였다.
첫째, 사회복지의 이념과 경제학의 이론을 상호 결합하여 사회복지정책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둘째, 독일 등 유럽의 여러 국가에서 논의되고 있는 사회복지정책의 이론을 소개하고자 하였다.
셋째, 사회복지정책의 수립과 집행 시 실제로 논의되어야 할 과제를 중심으로 작성하고자 하였다.
3판에서는 이전까지 책에서 함께 다루었던 사회보장론 부분을 제외하였고, 대신 사회복지정책의 영역만을 골라 그 내용을 중점적으로 보강하였다. 그 일환으로서 사회복지정책 3판은 전체를 5부 총 15개 장으로 구성하고, 각각은 사회복지정책의 정의와 역사, 가치이념과 목표체계, 기능, 기본원리 그리고 구성요소로 구분하여 관련 내용과 중요한 논점들을 상세하게 다루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