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그간 ‘교육사회학’ ‘교육과 사회’ 그리고 ‘교육사회학 관련 이론’ 등을 통하여 대학, 대학원 그리고 현장교사들에게 받은 많은 호응과 응원에 힘입어 이번에 그간의 대학강의와 연구에서 사용한 자료 중 아직 소개가 덜 된 내용을 첨가하여 지금까지의 교재 내용을 리모델링(Remodeling)한다는 의도로 교육사회학 관련 저자의 연구자료를 종합·정리한 『교육사회학: 학교사회·문화분석』을 출판하게 되었다.
특히 사회문제, 사회갈등, 교육격차·불평등 그리고 청소년 문화 등에 관한 보다 구체적인 내용과 자료를 첨가하였다.
교재 구성은 ‘교육사회학이론 → 학교사회문화 → 교육실천 과정’이라는 전체 구조를 중심으로 내용을 체계화하였다.
구체적으로 제1부에서는 교육과 사회관계를 교육사회학의 발달 과정, 거시·미시적 관련 이론, 학문적 성격과 연구 영역으로 제시하였고, 제2부에서는 교육불평등과 교육격차·학력격차의 문제를 그 접근 모형과 실천 과정을 구체적 자료에 더하여 제시하였으며, 제3부에서는 청소년 문제와 교육갈등과 사회갈등의 현안을 중심으로 현실교육의 문제, 한국교육의 가능성과 한계성을 살펴보고, 제4부에서는 사회체제로서 학교문화, 학급사회 역동성, 학교학습풍토, 교사기대와 교육효과, 학교효과의 실증연구, 학급의 사회심리학적 과정에 관한 내용을 추가하였으며, 제5부 한국 사회와 글로벌 교육에서는 평생교육, 다문화교육의 필요성과 발전과제 그리고 북한 사회의 교육이념, 제도, 과정 등을 제시하였다.
이 책에 수록된 내용이 한국 교육사회학의 전체 내용을 포괄할 수는 없으나 저자가 지금까지 연구·개발한 자료에 근거하여 기술하였다.
교육과 사회관계를 체계적으로 접근-분석-설명하는 교육사회학의 탐구를 미시·거시적 관점으로 양분하여 구분한다면 이 책은 학교사회, 학급문화의 측면, 즉 미시적 관점에 주안점을 갖고 보다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그 자체의 이론이나 관점도 중요하겠지만 궁극적으로 교육사회학 탐구의 목적은 학교교육의 발전, 즉 교실 내 교사-학생의 상호작용이 어떻게 이루어져야 교육효과가 달라질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여야 그 학문적 존재 가치가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