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검색
MY
아들러심리학에 기반을 둔 초기 회상
상담 이론 및 실제
저자 : Arthur J. Clark | 역자 : 박예진, 박상규
페이지 : 384p
  • 가격
  • ISBN
  • 발행일
  • 판형
  • 제본
  • 수량
  • 19,000원
  • 978-89-997-1125-1 93180
  • 2017-01-25
  • 크라운판
  • 반양장


내용

   이 책에서는 초기 회상이란 무엇이고, 어떻게 측정하고 평가하며, 임상집단에 따라 초기 회상이 어떤 특성들이 있고, 개인이 건강하게 지금 여기에 존재하기 위하여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를 아들러 관점에서 설명하고 있다. 불교에서는 기억이 우리의 인식과 감정 및 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연기설로 설명한다. 아들러는 초기 기억이 개인의 인식과 가치, 감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사례를 들어 설명하고 있다. 인간의 뇌는 어린 시절에는 아직 잘 형성되지 않고 순수하기 때문에 어린 시절에 경험한 감정은 사실 여부와 상관없이 개인에게 강력한 기준이 되어 자기와 세상을 바라보게 하는 것이다. Clark는 상담장면에서 주요한 초기 회상을 아들러의 관점에서 정리하여 상담자들이 내담자의 성격과 문제를 이해하도록 하였다.
   초기 회상은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아들러심리학의 중요한 이론적 체계이다. 이 책은 자신이 대인관계에서 일어나는 문제들을 쉽게 잘 이해하게 하여 고통이 줄어드는 삶을 사는 데도 주요한 안내서가 될 것으로 본다.

목차

역자 서문
저자 서문
감사의 글

1부 초기 회상: 개관, 이론적 관점, 연구

1장 초기 회상에 대한 개관
1. 개관
2. 상담과 심리치료에서 초기 회상이 가져다주는 이점
3. 상담 및 심리치료에서 초기 회상의 단점
4. 맥락적이고 발달적인 모델에서의 초기 회상
5. 사례 예시를 통해서 본 초기 회상
6. 요약

2장 초기 회상에 대한 이론적 관점
1. 개관
2. 초기 기억에 대한 알프레드 아들러의 관점
3. 초기 기억에 대한 지그문트 프로이트의 관점
4. 복원된 기억, 거짓 기억 그리고 초기 회상
5. 요약

3장 초기 회상에 대한 분류학적 고려와 성격 차원
1. 개관
2. 분류학적 탐구
3. 성격 차원
4. 요약

4장 초기 회상의 잠정적 진단 인상
1. 개관
2. 임상적 장애
3. 성격장애
4. 요약

2부 초기 회상: 채점 체계, 평가 수행 그리고 해석

5장 초기 회상의 채점 체계
1. 개관
2. 채점 체계
3. 맥락적 평가
4. 요약

6장 초기 회상의 실시
1. 개관
2. 일반적인 실시 절차
3. 예외적 상황에서의 실시 절차
4. 요약

7장 초기 회상의 해석
1. 개관
2. 주관적·대인관계적·객관적 관점
3. 초기 회상에 대한 관점들을 조직화하고 종합하기
4. 요약

8장 초기 회상 훈련과 실습
1. 개관
2. 초기 회상을 훈련하기
3. 초기 회상에 대한 실습
4. 요약

3부 초기 회상: 상담과 심리치료에 적용하기

9장 상담 과정에서의 초기 회상
1. 개관
2. 이론적 고려 사항
3. 상담 과정
4. 초기 회상의 활용에서 적용 문제와 변형적 응용
5. 요약

10장 상담 과정에서의 초기 회상: 사례 연구
1. 상담 과정

저자 소개

<b>Arthur J. Clark</b>



뉴욕 주 캔턴 시 소재의 세인트 로렌스 대학교(St. Lawrence University)에 있는 상담 및 발달 프로그램의 교수로 재직 중이다. 그는 오클라호마 주립대학교(Oklahoma State University)에서 1974년 상담학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학교상담사, 지도감독, 학교심리사로 일한 경력이 있다. 그는 또한 물질중독 치료 센터에서 상담사로 근무했다. 클라크 박사는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의 편집 위원이며, 『Elementary School Guidance and Counseling』과 『Journal of Specialists in Group Work』의 편집국에서 일한 바 있다. 또한 미국상담학회(American Counseling Association)와 미국심리학회(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의 회원이기도 하다. 인간 및 심리학 분야에서 많은 저서 및 논문을 출판한 바 있는데, 대표적인 저서로는 『Dawn of Memories』(2013), 『Defense Mechanisms in the Counseling Process』(1998)가 있다. 그는 현재 부인 및 세 딸과 함께 뉴욕 주 캔턴 시에 거주 중이다.

역자 소개

<b>박예진</b>



아들러코리아의 대표이사이자 한국아들러협회의 회장으로서, 2009년부터 아들러심리학의 대중화를 위해 노력하고, 기업 및 일반인 대상의 상담에 아들러의 이론을 접목해 왔다. 아들러국제학회에 소속되어 있으며, 외국의 아들러심리학 학자들과 함께 아들러심리학의 핵심 개념인 생활양식과 초기 회상을 한국에서 임상적인 연구를 통해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현재는 기업 E.A.P(Employment Assistance Program), 출소자 상담, 중독 상담, 부모와 학생들을 위한 긍정훈육, 아들러심리학 관련 책의 출판 및 보급에 기여하고 있다. 역서로는 『우리 아이 인성교육을 위한 긍정 훈육법』(역, 학지사, 2016), 『우리 아이 인성교육을 위한 긍정 훈육법 실천편』(역, 학지사, 2016) 등이 있다.



<b>박상규</b>



꽃동네대학교 사회복지학부 복지심리전공 교수로, 한국도박문제관리센터 이사장과 중독포럼 공동대표를 겸임하고 있다. 한국중독심리학회장, 한국중독상담학회장을 역임하였다. 『중독과 마음챙김』(학지사, 2016), 『정신건강론』(학지사, 2014), 『상담학 개론』(공저, 학지사, 2013), 『정신건강과 상담』(공저, 학지사, 2013), 『중독의 이해와 상담실제』(공저, 학지사, 2009), 『행복 4중주』(학지사, 2009), 『정신재활의 이론과 실제』(학지사, 2006) 등 많은 저서를 집필하였다.

알림

X

알림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