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21세기에 출판된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 치료에 대한 효과성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다음의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첫째, 조기에 발견해서 충분한 치료를 제공하는 것이 좋다. 둘째, 사회성에 초점이 맞추어진 종합적 접근을 기능발달단계에 맞게 제공하는 것이 좋다. 셋째, 부모를 교육하고 부모가 치료에 참여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할 수 있게 돕는 것이 좋다. 이 중에서 주목할 것은 바로 부모 참여의 중요성입니다. 과거에도 이야기가 있었지만, 이를 뒷받침하는 충분한 근거가 21세기 들어 새롭게 확립되어 가고 있습니다.
부모참여의 중요성은 서울대학교병원 ASD 치료·교육 프로그램의 핵심원칙이었고, 현재도 그렇습니다. 가능한 이른 시기에 부모가 함께 참여할 수 있게 설계된 ‘애착증진 프로그램’이 그 효시라 할 수 있습니다.
이 책에는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지난 수십 년간 ASD 아이들을 치료하고, 교육하고, 지원하면서 경험한 내용이 담겨 있습니다.
제1장은 부모가 가장 흔하게 궁금해하는 ASD 관련 질문에 답하는 형식으로 구성하였고, 제2장은 첫 진단을 받고 양육에 대해서 매일매일 고민하는 부모에게 어떻게 하면 아이를 좀 더 잘 이해하고 가까워지게 할 수 있을까를 생각하면서 구성하였으며, 제3장은 아이가 크면서 어린이집, 유치원, 학교 입학을 준비할 때 알아 두어야 할 특수교육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습니다. 제4장은 ASD에 함께 나타날 수 있는 의학적 문제에 대해 충분히 알고 그에 대처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고, 제5장은 ASD에서의 근거중심치료의 적용이 얼마나 중요한가를 강조하기 위해서 보완대체의학적 방법의 한계와 문제점에 대해 자세히 기술하였습니다.
청소년기와 성인기의 ASD 적응과정과 치료-지원에 대한 내용이나 최근 새롭게 발전하고 있는 생물학적 연구결과와 그에 근거한 새로운 약물치료법, 심리사회적 치료법 그리고 특수교육적 접근의 성과 등에 대한 내용은 나중에 다른 책을 통해서 전할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