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배려의 의미와 정신
1. 배려, 돌봄 그리고 케어
1) 배려의 특징
2) 배려 개념의 정의
2. 배려의 사상과 역사적 배경
1) 동양의 배려 사상
2) 서양의 배려 사상
제2장 배려의 유형
1. 관계대상에 따른 분류
1) 자기 자신에 대한 배려
2) 친밀한 사람에 대한 배려0
3) 낯선 사람에 대한 배려
4) 세계와 사회에 대한 배려
5) 동물 및 식물과 환경에 대한 배려
6) 추상적 관념에 대한 배려
2. 적용영역에 따른 분류
1) 진료 활동과 배려
2) 간호 활동과 배려
3) 사회복지 활동과 배려
4) 교육 활동과 배려
5) 기업경영과 배려
6) 행정업무와 배려
3. 그 밖의 배려 유형
1) 자연적 배려와 윤리적 배려
2) 참 배려와 헛 배려
3) 적극적 배려와 소극적 배려
제3장 배려의 형성과 발달
1. 길리건의 도덕성 발달
1) 자기 지향적 단계
2) 이기심에서 책임감으로의 변화 단계
3) 자기희생으로서의 선(善) 단계
4) 선에서 진실로의 변화 단계
5) 비폭력 도덕성 단계
2. 호프만의 공감 발달
1) 1단계: 신생아의 반동적인 울음
2) 2단계: 자기중심적인 공감적 고통
3) 3단계: 유사 자기중심적인 공감적 고통
4) 4단계: 현실적인 공감적 고통
5) 5단계: 당면 상황을 넘어선 공감
제4장 배려윤리
1. 페미니즘과 배려윤리
2. 도덕성의 성별 차이
3. 배려윤리의 발달 계열
4. 배려윤리와 악의 문제
5. 배려윤리이론에 대한 비판
6. 배려윤리의 적용
제5장 배려 관련 이슈
1. 배려에 관한 철학적 이슈
1) 정의윤리 또는 배려윤리의 우선성
2) 정의윤리와 배려윤리의 상호독립성
3) 정의윤리와 배려윤리의 상호의존성 혹은 상보성
2. 배려에 관한 사회심리학적 이슈
1) 배려의 상호성
2) 배려의 민감성과 진실성
3) 배려와 공감의 관계
4) 공감의 발생 양식과 배려
3. 배려에 관한 환경학적 이슈
4. 배려에 관한 문화적 이슈
제6장 배려의 교육 및 훈련
1. 배려교육
1) 가정에서의 배려교육
2) 학교에서의 배려교육
3) 사회공동체에서의 배려교육
2. 배려훈련
1) 배려의 구성요소
2) 배려의 과정
3) 배려훈련 프로그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