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이 책은 사회서비스사업, 특히 2007년부터 본격적으로 시작한 ‘지역자율형 사회서비스투자사업’의 성과를 측정하여 사업의 안정 및 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표준성과측정모형’을 개발하고자 기획하였다. 이 책에서 제시하는 성과측정모형은 기관 및 직원들의 역량을 강화할 수 있도록 돕는 자기주도적 역량 강화에 초점이 맞춰져 있고, 사회서비스사업에 가장 적합하다고 인정하는 단계별·요소별 성과측정모형이다.
이 책에서 제시하는 성과측정모형의 서비스효과성은 다음의 영역에서 측정된다. 첫째, 이용자 개개인이 갖는 문제의 해결이나 감소 그리고 사회문제에 대한 인식의 개선, 둘째, 이용자의 친구, 가족, 학교, 사회에 대한 적응력 향상. 셋째, 이용자의 회복력 개선 및 증진, 넷째, 이용자의 복지체감도 향상을 통한 삶의 질과 생활만족도 향상, 다섯째, 이용자가 주관적으로 인지하는 행복감의 향상, 여섯째, 이용자의 사기 진작, 일곱째, 이용자 및 이용자가족의 가족순응성 향상 및 가족건강성 개선, 여덟째, 이용자 및 이용자가족의 지자체 및 사회서비스에 대한 신뢰를 포함하는 사회자본에 대한 인식의 개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