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장. 해리장애란 무엇인가
1. 카인과 아벨이 한 사람으로
2. 해리장애의 역사
1) 해리와 히스테리 연구
2) 신해리 이론
3) 해리장애의 진단체계
3. 해리성 정체감 장애
4. 해리성 기억상실
5. 이인증/비현실감 장애
6. 해리장애의 발생과 진단
1) 해리성 정체감 장애
2) 해리성 기억상실
3) 이인증/비현실감 장애
7. 해리장애의 심리평가
2장. 해리장애는 왜 생기는가
1. 외상과 스트레스의 경험
2. 피최면성의 성격적 요인
3. 성격구조의 분리와 성격장벽
4. 통제의 상실
5. 조건형성과 관찰학습
6. 신경심리학적 모델
3장. 해리장애를 어떻게 치료할 것인가
1. 해리장애 치료의 개관
1) 심리치료
2) 약물치료
3) 집단치료
2. 정신역동적 심리치료
1) 치료지침
2) 해리성 정체감 장애의 치료
3) 이인증의 치료
4) 치료자-내담자 관계
5) 전이-역전이 관계의 역할 유형
3. 정보처리적 인본주의 접근
1) 경험에 직접 초점 맞추기
2) 불일치한 경험의 다른 측면을 찾아보기
3) 감정을 구체화하기
4) 경험의 장기 처리: 동화와 조절
5) 기억을 재구성해서 일치성을 이루기
4. 인지행동치료
5. 최면치료
1) 의식 상태의 변화
2) 감각의 변화와 이완
3) 자아 상태의 분리와 무의식
6. 전생치료
1) 완전한 심리적 과거력 얻어내기
2) 탈동일시
3) 전생 시나리오와 현재 삶의 패턴의 통합
7. 해리장애와 나: 글을 마치며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