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평균수명의 증가로 우리나라의 고령화는 세계 어느 나라에서도 유래를 찾기 어려울 정도로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다. 2000년 총인구 중 65세 이상 인구 비율이 7%를 넘어 이미 고령화 사회에 진입한 우리나라는 2018년에는 14%를 넘는 고령사회로, 2026년에는 20%가 넘는 초고령사회로 진입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처럼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노인인구는 노인문제의 심각성을 더해주고 있으며, 노인복지 관련이론과 정책의 필요성을 고조시키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흐름에 따라 2008년 출간된 『노인복지론』은 그동안 전공과목의 교재로 그리고 노인복지 관련기관 종사자들을 위한 지침서로 널리 활용되어 왔다.
그러나 『노인복지론』이 출간된 지도 8년의 세월이 흘렀을 뿐만 아니라 이후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는 노인복지정책을 수립하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인복지법도 수차례에 걸쳐 개정이 이루어져 왔다. 이에 따라 기존에 시행되던 노인복지정책이나 서비스 그리고 노인문제에 대한 접근방식에서도 상당 부분 변화가 있어 『노인복지론』 개정판을 출간하게 되었다.
이번 2판에서는 주로 제4부 노인복지정책과 서비스의 내용을 중심으로 대폭 수정· 보완이 이루어졌다. 제12장 노인복지정책의 기본개념에서는 노인복지정책과 제도에서 변화된 부분을 보완하였고, 제13장 소득보장정책에서는 사회보험과 공공부조, 노인고용증진제도에서 변화된 부분을 중심으로, 특히 기존에 시행되던 기초노령연금제도가 폐지되고 2014년부터 시행되는 기초연금제도 관련내용을 보완하였다. 그리고 제14장 의료보장정책에서는 특히 노인장기요양보험과 관련된 내용을 보완하였다. 그 외 다른 장의 내용은 최근 변화된 통계자료나 연구내용을 중심으로 부분적으로 수정·보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