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글로벌화가 인류의 생존 조건으로 일상화됨에 따라 미래 세대가 삶의 주체로서 지구환경에 창조적으로 적응할 수 있도록 돕는 학교 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글로벌 교육은 이러한 상황에서 탄생하여 진화하고 있다. 그러나 글로벌 교육에 관한 논의는 아직 구호 수준에 머물러 있기 때문에, 글로벌 교육에 대한 내용론과 방법론은 진화하는 흐름에 맞춰 재탐사할 필요가 있다.
제1부 글로벌 교육의 내용론에서 세부 사항은 다음과 같다. 제1장에서는 글로벌 교육의 출발점으로 글로벌화의 의미 탐색을 지리적인 관점에서 추구하였다. 제2장 ‘글로벌 단원의 성립과 전개’는 우리나라 초등학교 사회과 교과서를 자료로 하여 글로벌 교육의 수요가 어떤 식으로 토착화되었는지 추적하였다. 제3장은 소위 ‘다문화교육’이라는 발상이 사회과 교육과정 속에서 작동하고 있는 기제를 확인하고자 한 결과물이다. 제4장은 글로벌화라는 시대의 흐름과 강하게 부딪히고 있는 영토의식의 세계를 ‘영토교육의 재개념화’라는 관점에서 다루었다.
제2부 글로벌 교육의 방법론에서 세부 사항은 다음과 같다. 제5장은 글로벌 교육방법으로서 문제해결의 논리를 모색하였다. 고등학교 통합사회 과목의 경우를 사례로 하여 소단원 구성의 흐름으로 접근하였다. 제6장은 학교현장에서 실천되고 있는 ‘유네스코 문화교실’을 사례로 하여 해당 수업의 구조와 인식 논리를 분석하고 미래지향적인 전망을 도모하였다. 제7장은 글로벌 교사교육의 관점에서, 이중 언어 교수요원들을 대상으로 하는 <한국사회의 이해> 강좌의 실행연구 성과물을 담았다. 제8장은 글로벌 교육을 ‘상호이해와 편견 극복’이라는 차원으로 맥락화하여 학교에서 실천할 수 있는 수업의 구상을 시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