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검색
MY
성범죄자 치료
좋은 삶과 자기조절 통합모델의 적용
저자 : Pamela M. Yates, David S. Prescott, Tony Ward | 역자 : 신기숙, 심진섭, 이종수, 이지원, 전은숙
페이지 : 368p
  • 가격
  • ISBN
  • 발행일
  • 판형
  • 제본
  • 수량
  • 20,000원
  • 978-89-997-0943-2 93180
  • 2016-04-25
  • 4x6배판변형
  • 반양장


내용

이 책은 성범죄자 치료에 경험이 있고 잘 훈련된 능숙한 전문가와 개입에 관계하고 있는 슈퍼바이저들을 위해 마련되었으며, 성범죄자 심리치료를 위한 훈련 프로그램이기도 하다. 성범죄자에게 좀 더 나은 삶을 제공하고자 하는 좋은 삶 모델과 위험성을 관리하는 자기조절 모델을 통합하여, 긍정적이고 목표 지향적이며 강점에 기반을 둔 개입을 토대로 설계되었다. 이 책에서는 긍정심리학과 동기강화 이론에 근거하여 내담자의 참여를 통한 효과적인 성범죄자 치료의 원리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며, 평가와 치료 계획에서는 좋은 삶 모델에서의 치료 목표와 범죄과정에서의 자기조절 경로의 탐색을 통해 통합적인 사례 개념화를 제시하고 있다. 치료와 추후지도에서는 개인의 삶과 범죄과정의 개방을 통해 개인에게 잘 짜 맞추어진 치료의 적용방법과 출소 후 지역사회 복귀에서의 사례관리를 설명하고 있다.
국내에서 성범죄자를 치료하고 있는 임상가들을 교육할 때마다, 그들에게 제공해 줄 수 있는 교재가 제한되어 있어 늘 안타까운 마음이었다. 이 책이 성범죄자 치료자들에게 좋은 길잡이가 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앞서 말했듯이, 이 책은 초보자용 교재라기보다 경험 있는 전문가들을 위한 지침서이기 때문에 이 책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성범죄자에 대한 기본 지식과 이론이 정립되어 있어야 한다. 각 영역에서 설명하고 있는 내용 또한 각각의 상황과 여건에 맞게 자신의 전문성을 토대로 창조적으로 적용했을 때 효과적인 개입이 가능하다. 역자들도 번역을 준비하면서 어떻게 적용해 나갈 것인지에 대해 함께 토론하고 고민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 책을 통해 성범죄자 개입에 책임이 있는 전문가들이 좀 더 효과적인 치료를 적용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목차

추천사
역자 서문
서 문

영역 I 성범죄자 치료의 원리

1장 성범죄자 치료 원리
인지행동치료
위험성/욕구/반응성 원칙
치료 구성요소
부가적 치료

2장 동기강화와 효과적인 내담자 참여
동기강화와 효과적인 치료 기법
구체적 치료활동

3장 좋은 삶, 자기조절 그리고 통합된 모델의 원리
좋은 삶 모델의 기본 원리
좋은 삶 계획에서의 결함
좋은 삶 모델 접근의 치료
자기조절 모델의 기본 토대와 개정된 자기조절 모델
범죄관련 목표
범죄관련 전략
범죄 경로
범죄과정 모델

영역 II 평가와 치료 계획

4장 좋은 삶의 구성요소 평가
일차적 덕목 평가
이차적 덕목 평가
성범죄와 일차적 덕목의 관계
좋은 삶 계획에서 결함에 대한 평가

5장 자기조절 평가: 범죄 경로의 결정
회피-수동 경로
회피-능동 경로
접근-자동 경로
접근-명백 경로
범죄 경로 평가
범죄관련 목표
범죄 전략
범죄 경로 결정

6장 평가 통합하기
위험성 평가
위험성 평가에서 고려할 사항
위험성 평가와 치료 계획
치료를 위한 부가적 평가
평가 통합과 치료 계획

7장 사례 개념화와 치료 계획 수립
종합적 사례 개념화 수립
사례 개념화 구성
치료 계획 수립

영역 III 치료

8장 좋은 삶/자기조절 통합모델을 활용한 치료
치료 단계
사회적 기능, 애착, 친밀감 및 대인관계
재발방지 및 출소 준비
유지와 관리감독

9장 범죄과정 I: 개인력
배경요인 탐색하기
개인력-자기조절과 좋은 삶
통합된 개인력 구성 단계
치료에서 개인력 발표하기
간과하기 쉬운 기본적인 사항들

10장 범죄과정 II: 범죄개방
삶의 사건(2단계)
삶의 사건에 대한 반응 욕구(3단계)
목표수립(4단계)
전략 선택(5단계)
목표성취의 기회(6단계)
범죄 전 행동(7단계)
성범죄(8단계)
범죄 후 평가와 좋은 삶 계획 조정(9단계)
미래 의도, 계획 조정 또는 개선(10단계)

11장 자기조절 경로 치료방법
회피-수동 경로
회피-능동 경로
접근-자동 경로
접근-명백 경로

12장 좋은 삶/자기조절 통합계획 개발
좋은 삶/자기조절 계획 세우기
중요한 것으로 확인된 일차적 덕목
이차적 덕목
덕목이 성취되고 있음을 보여 주는 지표
좋은 삶 계획이 위협받고 있음을 보여 주는 지표
좋은 삶 계획의 결함에 대한 지표
자기조절의 달성과 유지
위험성 요인의 이해, 위험성 관리 계획 그리고 급성 위험성의 지표

영역 Ⅳ 치료 후 지도와 지역사회 재결합

13장 치료 후 유지와 관리감독
효과적인 관리감독의 요소
지역사회에서 좋은 삶/자기조절 계획
관리감독에서 지원
위험성과 자기조절: 잘못되고 있을 때
좋은 삶과 자기조절: 잘 진행되고 있을 때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 소개

<b>Pamela M. Yates</b>

심리학 문학박사이며, 심리학 조사연구자로 성범죄자, 폭력범죄자, 물질남용자 및 폭력피해자를 포함한 성인과 청소년 등 다양한 분야의 임상가이자 연구자이며, 공인된 범죄자 치료 프로그램 개발자로 활동하고 있다. 그녀의 연구와 출간 책들은 범죄자 사회복귀, 성범죄자 평가 및 치료, 프로그램 사정, 위험성 평가, 치료 효과성, 사이코패시 및 성적 가학증 등의 내용을 포함한다. 그녀는 성범죄자 개입과 실무 적용에 대한 확장된 자기조절 및 좋은 삶 모델에 대해 저술했다.



<b>David S. Prescott</b>

임상사회복지사(LICSW)로 현재 미국 메인 주의 Becket Program 책임 임상가다. 그는 미국 무스레이크에서 Minnesota Sex Offender Program 책임 임상가로 근무했으며 위스콘신 주 Sand Ridge Secure Treatment Center의 치료평가 책임자로도 근무했다. 그는 모든 연령대의 성범죄자를 대상으로 치료적 개입을 하는 것에 대한 7권의 책을 저술하였고, 성학대자 치료협회의 회장을 역임했다. 그의 임상 및 훈련 분야는 동기강화, 치료적 관계의 개발 및 유지 그리고 치료과정 평가에 초점을 두고 있다.



<b>Tony Ward</b>

임상심리학 박사로 현재 뉴질랜드 빅토리아 대학교의 학과장이며 임상심리학 교수로 재임 중이다. 그의 연구 분야는 범죄자의 인지, 재통합 및 중지, 범죄심리학에서의 윤리적 쟁점 그리고 인간 행동 이해에 대한 혁신적 접근이다. 그는 280권 이상의 대학 교재를 저술했고 최근 저서(공동 집필자는 Richard Laws)로 Desisting from Sex Offending: Alternatives to Throwing Away the Keys(Guilford, October 2010)가 있다.

역자 소개

<b>신기숙</b>

전남대학교 심리학과 박사(임상심리 전공)

임상심리전문가, 정신보건임상심리사 1급

상담심리사 1급, 범죄심리전문가

전 광주해바라기아동센터 소장

&nbsp;&nbsp;&nbsp;&nbsp;광주여성민우회 가족과성상담소장

현 서울지방교정청 교정심리치료센터 교육팀장



<b>심진섭</b>

충북대학교 심리학과 박사수료(법심리 전공)

상담심리사 1급

전 충북대학교 학생생활상담소 전임상담원

현 대전지방교정청 교정심리치료센터 상담심리전문가



<b>이종수</b>

덕성여자대학교 심리학과 박사수료(임상건강 전공)

상담심리사 1급

전 광주 금호타이어 아름터상담실장

&nbsp;&nbsp;&nbsp;&nbsp;SK 유비케어 헬스케어 사업부 상담심리전문가

현 서울지방교정청 교정심리치료센터 상담심리전문가



<b>이지원</b>

건국대학교 교육학과 박사과정(상담심리 전공)

상담심리사 1급

전 엠피스심리상담연구소 전문상담원

&nbsp;&nbsp;&nbsp;&nbsp;가톨릭정신과 클리닉 전문상담원

현 서울지방교정청 교정심리치료센터 상담심리전문가



<b>전은숙</b>

전북대학교 심리학과 석사수료(상담심리 전공)

정신보건임상심리사 1급

전 정신보건시설 마음사랑의집 센터장

현 광주지방교정청 교정심리치료센터 교육팀장

알림

X

알림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