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이 책은 통계모형으로서 다층모형을 다루고 있다. 다층자료의 위계적 속성은 전통적인 통계모형에 부합하지 않는 자료구조로, 오늘날 보편적인 통계모형으로 간주되고 있으며 실제 현상에서 관찰되는 다양한 위계적 속성의 자료에 부합하는 통계모형도 계속 개발되고 있다. 다층모형의 개발과 발전은 과학이 진보하여 현실에 더 가까이 다가선다는 것을 알려 주는 좋은 예증이다. 한국의 학계에 다층모형이 처음 소개된 해는 1991년이지만, 2016년에 출판되는 이 책이 국내 최초의 단행본 전문서라고 할 수 있다. 이 책에서는 다층모형의 표준모형이라고 할 수 있는 2-수준 다층모형과 3-수준 다층모형을 다루었다. 이 두 모형을 체계적으로 이해하는 것은 아직 이 책에 포함하지 않은 교차분류 다층모형, 잠재변인 다층모형, 일반화 다층모형, 그리고 수없이 다양한 위계적 속성의 자료를 분석하기 위하여 새롭게 개발되는 다양한 다층모형을 이해하는 데 기본 토대가 될 것이다.
이 책은 8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1, 2, 3장은 다층모형의 학술사적 배경과 방법론적 특성, 그리고 현재까지의 다층모형의 발전과정을 서술하였다. 4장은 2-수준 다층모형이 횡단연구에서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를 서술하였다. 5장에서는 2-수준 다층모형이 종단연구에서 어떻게 명세화되는지를 소개하였다. 6장은 연구자의 창의적 모형 명세화로 다층모형의 응용과 적용범위가 구체적으로 어떻게 확산될 수 있는지를 보여 주며, 잔차분석이 제공하는 정보도 함께 소개하였다. 7장에서는 2-수준 다층모형보다 방법론적으로 더 타당한 모형이라고 할 수 있는 3-수준 다층모형을 소개하였다. 마지막으로 8장은 다층모형의 방법론적 이해를 돕기 위한 부분으로, 모형의 수학적 정의와 추정이론, 구체적인 추정방법을 다루었다. 이 책은 양적연구방법을 전공하는 연구자들과 실제 연구에서 다층모형을 응용하려는 사회과학자들을 위한 가독성 높은 통계전문서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