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우리 사회에서 ‘실버산업’에 대한 논의가 국가정책으로 다뤄지기 시작한 지 어느새 15년 이상이 지났다. 2000년대 초반 인구고령화 현상이 화두가 되면서 실버산업의 필요성은 상당한 설득력을 가지고 문제로 제기되었고, 2020~2030년대에 베이비붐세대가 노년기에 진입할 것에 대비하여 실버시장을 키우기 위한 준비가 학계와 연구기관들을 중심으로 가시화되었다.
일부 대학에서는 실버산업 관련 학과를 개설하였고, 또 다른 대학에서는 노인 관련 학과를 개설하는 움직임이 재빠르게 나타나기도 하였다. 우리가 대학 교재로 ‘실버산업론’을 개발하게 된 계기도 이러한 추세에 고무되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실버산업의 여러 분야에 맞춰 학제간 필진을 구성하여 다양한 관점에서 저서를 집필하게 되었다.
이번 개정판에는 그동안 저자들이 강의를 하면서 수정보완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부분들을 대폭 반영하였다. 또한 강의를 담당했던 저자 외에 직접 강의를 맡았던 강사들의 의견도 적극 포함시켰다. 전체 구성에서 달라진 것은 초판의 3부가 4부로 늘어났고, 실버경영 부분에서는 다소 깊은 수준의 내용을 교양서 수준에 맞춰 조절하였다. 또한 고령친화산업 관련 정책 중 2000년대 초반의 내용을 삭제하였으며, 통계도 가능한 한 모두 최근 자료로 바꾸었다. 그리고 이책의 특징인 장별 언론기사도 상당 부분 새로운 것으로 교체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