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지난 교육의 역사를 돌아보면 교육은 기나긴 시간 동안 권위주의적 성격의 교육이 지배하다가 근세에 이르러 루소를 기점으로 비권위주의적 교육으로의 점진적인 걸음걸이를 해 왔음을 알 수 있다. 권위주의적 교육, 혹은 비권위주의적 교육은 교육의 대상인 아동을 어떤 존재로 이해하고 어떤 방식으로 가르치고 기르느냐에 의해 일면 구분되고 규정된다고 할 수 있다.
이 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지고 내용을 전개하였다. 우선 권위 및 권위주의, 비권위주의의 개념을 정리하여 보았고, 이어서 비권위주의 교육의 사상적 범주로서 ‘소극적 교육’ 개념을 중심으로 루소의 자연주의 교육사상을, ‘흥미’ 개념을 중심으로 듀이의 진보주의 교육사상을, 그리고 실존의 ‘주체성’ 개념을 중심으로 실존주의 교육사상을 각각 서술하였다. 이어서 비권위주의 교육의 흐름 가운데 20세기 초 영국의 신교육운동을 중심으로 비권위주의 교육운동을 서술하였고, 아울러 신교육운동의 국제적 연대를 가능하게 한 ‘신교육협회’의 설립과 활동을 함께 정리하였다. 나아가 비권위주의 교육의 대표적 실천 사례라고 할 수 있는 닐의 서머힐 학교에서 진행되어 온 교육 내용을 상세히 서술하여 비권위주의 교육의 구체적 이해를 도모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