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검색
MY
유아발달
저자 : 정옥분
페이지 : 544p
  • 가격
  • ISBN
  • 발행일
  • 판형
  • 제본
  • 수량
  • 28,000원
  • 978-89-997-0852-7 93370
  • 2016-02-20
  • 4x6배판변형
  • 양장

도서자료

강의용 PPT는 PC에서만 다운이 가능합니다.(*교수회원만 가능)

내용

   최근에 와서 영유아발달에 대한 관심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관심을 반영하여 2014년부터 시행되고 있는 ‘개정 영유아보육법’에서는 보육교사 자격증을 취득하기 위한 필수과목으로 ‘영아발달’과 ‘유아발달’을 선정한 바 있다.
   이번에 출간하게 되는 『유아발달』은 작년에 출간된 『개정판 영유아발달의 이해』를 골간으로 하여 유아기의 발달에 초점을 맞추어 재구성한 것이다. 『유아발달』은 모두 11개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장에서 제4장까지는 유아발달 이해의 기초로서 아동발달의 본질, 아동발달의 이론, 아동발달의 연구방법, 아동발달의 유전적 기초에 관해 서술하였다. 제5장에서 제7장까지는 유아의 신체발달, 인지발달, 사회정서발달 등을 정리하였으며, 제8장에서 제10장까지는 유아와 가족환경, 또래관계와 놀이, 영유아보육 등을 포함하는 유아발달과 사회환경문제를 다루었다. 그리고 마지막 제11장에서는 유아기 발달장애의 개념과 진단에 관해 살펴본 다음 성장장애, 자폐장애,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비디오 증후군, 반응성 애착장애, 불안장애, 우울 증 등 유아기의 발달장애를 정리하였다.
   특히 오늘날 우리 사회에서 매우 이른 시기부터 유아들이 집단보육시설에서 생활하게 된다는 점을 감안하여, 제5장, 제6장, 제7장에서는 유아기의 신체발달, 인지발달, 사회정서발달에 관해 서술한 다음, 말미에 유아발달의 세 영역과 관련된 보육교사의 역할에 관해 서술하였다. 그리고 제11장에서는 일반유아와 특수교육대상유아의 통합교육에 관한 내용을 정리하였다.
   이 『유아발달』은 유아교육학과, 보육학과, 아동학과 등에서 유아발달 강의를 위한 교재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영유아 보육에 종사하는 관계자 등은 물론이고, 유아발달에 관심이 있는 분들에게 참고가 되고 도움이 될 것이다.

목차

머리말

제1장 아동발달의 본질
1. 아동발달의 개념
2. 아동발달의 쟁점
3. 아동발달연구의 역사

제2장 아동발달의 이론
1. 성숙이론
2. 학습이론
3. 정신분석이론
4. 인지발달이론
5. 동물행동학적 이론
6. 생태학적 이론
7. 우리나라의 아동발달이론

제3장 아동발달의 연구방법
1. 아동발달연구의 목적
2. 과학적 연구의 과정
3. 과학적 연구의 요소
4. 표집의 문제
5. 자료수집의 방법
6. 연구설계
7. 아동발달연구의 접근법
8. 아동발달연구의 윤리적 문제

제4장 아동발달의 유전학적 기초
1. 유전의 기제
2. 유전의 법칙
3. 유전인자와 염색체의 이상
4. 유전상담
5. 유전과 환경

제5장 신체발달
1. 신체적 성장
2. 뇌와 신경계의 발달
3. 운동기능의 발달
4. 건강관리와 질병
5. 신체발달과 보육교사의 역할

제6장 인지발달
1. 유아기 사고의 특성
2. 유아기의 기억발달
3. 언어발달
4. 지능과 창의성
5. 인지발달과 보육교사의 역할

제7장 사회정서발달
1. 정서의 발달
2. 성역할발달
3. 도덕성발달
4. 친사회적 행동
5. 사회정서발달과 보육교사의 역할

제8장 유아와 가족환경
1. 부모의 역할
2. 사회변화와 부모역할의 변화
3. 부모의 양육행동
4. 아동학대
5. 형제자매와 출생순위
6. 조부모의 역할
7. 가족변화

제9장 또래관계와 놀이
1. 언어의 구성요소
2. 우정의 발달
3. 놀이

제10장 영유아보육
1. 영유아보육의 개념
2. 영유아보육의 필요성
3. 영유아보육의 목표
4. 영유아보육의 질
5. 우리나라 영유아 보육시설
6. 우리나라 영유아보육의 과제

제11장 유아기의 발달장애
1. 발달장애의 개념
2. 유아기 발달장애의 진단
3. 성장장애
4. 자폐장애
5.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6. 비디오 증후군
7. 반응성 애착장애
8. 불안장애
9. 우울증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 소개

<b>정옥분</b>



〈약력〉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가정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과정 졸업(아동학 전공 석사)

미국 University of Maryland 박사과정 졸업(인간발달 전공 Ph.D.)

한국아동학회 회장, 한국인간발달학회 회장, 미국 University of Maryland 교환교수,

ISSBD 국제학술대회 조직위원회 위원장,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교수,

고려대학교 사회정서발달연구소 소장 역임

현재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명예교수

   고려대학교 의료원 안암병원, 구로병원, 안산병원 어린이집 고문



〈저서〉

영유아발달의 이해(개정판, 학지사, 2015)

전생애 인간발달의 이론(제3판, 학지사, 2015)

청년발달의 이해(제3판, 학지사, 2015)

청년심리학(개정판, 학지사, 2015)

발달심리학(개정판, 학지사, 2014)

성인·노인심리학(개정판, 학지사, 2013)

아동발달의 이해(개정판, 학지사, 2013)

아동심리검사(학지사, 2012)

영아발달(학지사, 2012)

아동연구와 통계방법(학지사, 2010)

성인·노인심리학(학지사, 2008)

아동학 연구방법론(학지사, 2008)

유아교육 연구방법(학지사, 2008)

청년발달의 이해(개정판, 학지사, 2008)

전생애 인간발달의 이론(개정판, 학지사, 2007)

사회정서발달(학지사, 2006)

청년심리학(학지사, 2005)

발달심리학(학지사, 2004)

영유아발달의 이해(학지사, 2004)

전생애발달의 이론(학지사, 2004)

아동발달의 이론(학지사, 2003)

아동발달의 이해(학지사, 2002)

성인발달과 노화(교육과학사, 2001)

성인발달의 이해(학지사, 2000)

청년발달의 이해(학지사, 1998)



〈공저〉

보육교사론(학지사, 2015)

결혼과 가족의 이해(학지사, 2014)

생활과학 연구방법론(학지사, 2014)

보육과정(2판, 학지사, 2013)

보육학개론(2판, 학지사, 2012)

아동복지론(학지사, 2012)

보육과정(학지사, 2009)

애착과 발달(학지사, 2009)

노인복지론(학지사, 2008)

보육학개론(학지사, 2008)

부모교육(학지사, 2008)

예비부모교육(학지사, 2007)

정서발달과 정서지능(학지사, 2007)

Parenting beliefs, behaviors, and parent-child relations:

A cross-cultural perspective(공편, Psychology Press, 2006)

결혼과 가족의 이해(시그마프레스, 2005)

고등학교 인간발달(교육인적자원부, 2003)

배려지향적 도덕성과 정의지향적 도덕성: 아산재단 연구총서 제123집(집문당, 2003)

부모교육: 부모역할의 이해(양서원, 2000)

인간발달: 발달심리적 접근(개정판, 교문사, 1997)

사랑으로 크는 아이(계몽사, 1996)

유아의 심리(중앙적성출판사, 1994)

인간발달: 발달심리적 접근(교문사, 1989)

가족과 환경(교문사, 1986)



〈역서〉

학위논문작성법: 시작에서 끝내기까지(공역, 시그마프레스, 2004)

청년발달의 이론(공역, 양서원, 1999)

인간발달의 이론(교육과학사, 1995)

인간발달 Ⅱ: 청년기, 성인기, 노년기(교육과학사, 1992)

부모교육 이론과 적용(공역, 국민서관, 1989)



〈논문〉

Sex-Role Identity and Self-Esteem among Korean and American College Students(University of Maryland 박사학위논문, 1983)

전통 ‘효’ 개념에서 본 부모역할인식과 자녀양육행동(1997)

영아기 기질 및 부모의 양육행동에 따른 2~4세 아동의 행동억제에 관한 단기종단연구: 8개국 비교문화연구를 위한 기초연구(2003)

Behavioral Inhibition in Toddlers: Initial Findings from the International Consortium for the Study of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2004)

A Cross-Cultural Study of Behavioral Inhibition in Toddlers: East-West-North-South(2006)

A Mediated Moderation Model of Conformative Peer Bullying(2012) 외 논문 다수

알림

X

알림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