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자 소개
<b>박미리(2, 3장)</b>
용인대학교 연극학과 및 동 대학원 연극치료학과 교수. 주요 저서로 『발달장애 연극치료』, 『감정모델 연극치료』, 『연극치료의 진단평가』(공역) 등이 있다.
<b>김숙현(8장)</b>
연극평론가. 주요 논문으로 「여자의 사랑, 행위, 그리고 정치-와즈디 무아와드의 ‘그을린 사랑’」과 「공연중심 연극치료의 양상과 치료적 특성」 등이 있다.
<b>배희숙(11장)</b>
우송대학교 언어치료·청각재활학부 교수, 1급 언어치료사. 주요 논문으로 「자폐스펙트럼 장애아동의 화용발달을 위한 DvT 연극치료 모델 집단 언어치료」, 「연극을 활용한 집단 언어치료가 사회성 결핍 언어발달장애 아동의 언어 및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 등이 있다.
<b>심정순(10장)</b>
숭실대학교 명예교수, 연극평론가, 드라마투르그dramaturg. 한국연극학회 회장 및 국제연극학회IFTR 집행위원회 위원 역임. 관심분야는 젠더와 연극, 문화상호주의, 셰익스피어이며, 주요 저서로 『페미니즘과 한국연극』, 『글로벌 시대의 한국연극 공연과 문화 1, 2권』, 『한국여성연출사와 미학』 등이 있다.
<b>오수진(12장)</b>
현재 한국역할극 문화예술교육협회 회장, 한국심리극 예술치료연구원 대표. 동신대학교 영문과(드라마 전공) 전임교수, 여성부 국제결혼가정 지원교육 전문가 협의회 상임대표 역임. 역할극 전문가 수련감독, 사이코드라마 전문가, 통합예술치료 전문가. 주요 저서로 『셰익스피어 공연 읽기』가 있고, 주요 논문으로 「집단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의 아동학대 부모교육으로서 활용 효과에 관한 연구」, 「노인여가활동으로서의 비블리오드라마의 효과」 등이 있다.
<b>윤일수(7장)</b>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HK연구교수, 사이코드라마 1급 전문가 수련감독, 통합예술치료사. 주요 저서로 『가족 사이코드라마』, 『인생은 톱니바퀴다: 영상을 통한 인문치료 이야기』 등이 있으며, 주요 논문으로 「사이코드라마 디렉터의 역할과 자질」, 「사이코드라마 주인공의 효율적인 선정방식」, 「이혼에 대한 편견을 경감시키기 위한 소시오드라마의 활용」 등이 있다.
<b>이가원(5장)</b>
연극치료사, 수원여자대학교 강사. 주요 논문으로 「투사적 이미지를 활용한 연극치료에 관한 연구」, 「정서도식을 활용한 여성노인 연극치료 사례 연구」가 있다.
<b>이두성(13장)</b>
배우, 한양대학교 연극영화과 겸임교수, 前 한국마임협회 회장. 주요 논문으로 「공감공동체를 향한 자전적 스토리텔링 공연 만들기 프로그램 연구」, 「시를 활용한 마음 창작공연 연구」 등이 있다.
<b>이선형(6장)</b>
김천대학교 상담심리학과 교수. 주요 저서로 『연극은 무엇을 위해 존재하는가』, 『연극, 영화로 떠나는 가족치료』 등이 있으며, 주요 논문으로 「치유의 드라마에서 주체와 객체의 관계 연구」, 「연극치료에서 자전공연의 의미 연구」, 「연극치료에서 투사 연구」 등이 있다.
<b>이효원(서문,1장)</b>
연극치료사, 용인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연극치료학과 강사. 주요 저서로 『연극치료와 함께 걷다』, 『카우치와 무대』(역서) 등이 있다.
<b>장인숙(9장)</b>
수원과학대학 공연연기과 교수 역임. 주요 저서로 『20세기 전반기 유럽의 연출가들』(공저), 『아리안느 므누슈킨과 태양극단의 공동창작 연극』, 『바르바와 오딘극단의 연극여정』(역서), 『몸과 마음의 연기』(공저) 등이 있다.
<b>정순모(4장)</b>
연극연출가, 민속예술치료연구소장, 구로연극협회부회장. (사)한국교사연극협회창립초대회장, 극단수업대표, 前 현대고 교사. 주요 연출 작품으로 <에쿠우스>, <깔리귤라>, <비계낀 감자> 등 30여 편이 있고, 저서로는 『東洋傳統演劇의 美學』, 『잔혹연극론과 아르또』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