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
<b>오인탁</b>
숭실대학교, 연세대학교, 독일 튀빙겐(Tu촢ingen) 대학교에서 기독교교육학과 교육철학을 전공하고 1976년 3월에 박사학위(Dr. rer. soc.)를 받았다. 이후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교육학과에서 4년간 근무하고, 1981년부터 연세대학교 교육과학대학 교육학과에서 부교수, 교수, 명예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한국 기독교교육학회, 한국 교육철학학회, 한국기독자교수협의회 회장을 역임하였으며, 한독교육학회를 창립하고 초대 회장을 역임하였다. 주요 연구영역은 고대 그리스의 교육사상, 히브리 민족의 교육, 근대 독일교육철학이다.
〈저서〉
현대 교육철학의 전망(1982), 기독교 교육(1984), 현대교육철학(1990), 고대 그리스의 교육사상(1994), 파이데이아(2001), 한국 현대 교육철학과 교육사학의 전개(2001), 한국 기독교교육학 문헌목록 1945∼2005(2008).
〈편저 및 공저〉
위대한 교육사상가들(VII권, 1997-2008), 기독교교육학 개론(2005), 교육의 역사 철학적 지평(2006), 교육학 연구의 논리(2006), 새로운 학교교육문화운동(2006), 대학교육개혁의 철학과 각국의 동향(2006), 기독교교육사(2008), 기독교학교교육(2014).
〈편집서〉
단계 이규호 전집(9권, 연세대출판부), 기독교교육학 기본교재 총서(26권, 한국기독교교육학회), 교육의 역사와 철학(20권, 학지사).
〈주요 논문〉
슐라이에르막허의 교육철학(1978), 코메니우스의 Pampaedia 이론(1980), 대학과 생명교육(1995), 대학교육발전과 기여우대제(2001), 홀리즘에 대한 교육철학적 성찰(2009), 한국의 기독교교육과 역사(2011), 교육의 잃어버린 차원들(2012), 언더우드가 추구한 연세교육의 수월성과 평등성(2013), 교육의 집을 재건축하자(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