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사회복지영역에서 측정도구에 대한 연구는 미래 한국 사회복지 발전에 대한 물질적 기초를 다지는 중요한 분야라는 점에서 많은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매우 중요한 영역이다. 측정도구라는 것은 변화와 개선을 목적으로 하는 측정을 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모든 수단을 의미하며 우리는 이 수단을 이용하여 우리가 현재 어디에 위치하고 있으며 어디로 어떻게 나아가야 하는지를 정확하게 진단받을 수 있다. 측정하지 않으면 우리의 현실을 있는 그대로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측정은 곧 변화 및 발전을 위한 증거이고 기반이다.
본 연구는 본격적으로 사회복지영역에서의 측정도구를 다루고 있다. 제1장에서는 측정도구의 필요성을 지적하고, 측정도구에 대한 소개와 측정도구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제2장에서는 측정도구 개발의 논리 및 척도와 지수개발의 차이점을 서술하였고, 제3장과 제4장에서는 지수개발과 지수개발단계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과 실례를 서술하였다. 제5장과 제6장에서는 척도개발 및 척도개발의 단계에 대한 내용 및 실례를 살펴보았으며, 제7장에서는 좋은 측정도구의 기준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제8장과 제9장에서는 측정도구의 하나인 사회지표에 대한 자세한 내용과 우리나라의 사회복지관련 사회지표를 소개하였다. 특히 사회복지 영역에서 활용 가능한 사회지표들을 모은 사회복지자료집이 학지사 홈페이지 자료실(www.hakjisa.co.kr)에 게시되어 있으니 관심 있는 독자들은 적극 활용하길 바란다. 여러모로 부족한 본 연구가 측정도구를 공부하는 학생들이나 관련 연구를 위해 노력하는 연구자 및 실무자들에게 조그마한 도움이 되길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