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검색
MY
유아발달
저자 : 이영, 김온기, 조성연, 이혜경, 이선원, 이정림, 나유미, 김상림, 나종혜
페이지 : 288p
  • 가격
  • ISBN
  • 발행일
  • 판형
  • 제본
  • 수량
  • 17,000원
  • 978-89-997-0711-7 93370
  • 2015-06-30
  • 4x6배판
  • 양장

도서자료

강의용 PPT는 PC에서만 다운이 가능합니다.(*교수회원만 가능)

내용

유아발달은 발달심리학 또는 인간발달이라는 학문 분야의 일부로서 유아기라는 특별한 시기의 발달을 집중적으로 다루는 학문이다. 유아기에 대한 연령 구분은 학자마다 다소 다르지만 이 책에서는 3세부터 5세까지를 유아기로 다루었다. 긴 인생의 여정 중 3년 정도밖에 차지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유아기는 영아기와 함께 인간의 발달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기초를 형성하는 시기이며 가장 큰 변화를 겪는 시기로 알려져 있다. 이런 의미에서 유아발달에 관한 지식은 학문적인 중요성뿐 아니라 응용적이고 실용적인 중요성을 동시에 갖는다고 볼 수 있다.
이 책에서는 기존의 유아발달을 다룬 책들과 차별화하고자 몇 가지 측면에서 노력하였다. 첫째, 책의 구성에 있어 발달의 기초가 되는 주요 발달 이론과 방법론을 제시하되 유아기에 초점을 두고 그 부분을 상세히 소개하고자 하였다. 둘째, 언어의 발달과 더불어 급격히 발달하는 사고력과 창의성, 또래와의 접촉이 늘어나면서 더욱 중요해지는 사회 인지, 정서 조절, 사회적 능력 등 최근에 강조되는 유아기의 주요 주제를 부각하여 관련 이론과 연구를 상세히 소개하였다. 셋째, 각 주제와 관련된 사회적 이슈나 교육적 적용을 위한 정보를 팁이나 부모 및 교사의 역할로 제시하였다. 넷째, 유아를 대상으로 교육하거나 지원하고자 할 때 반드시 알아 두어야 할 환경의 영향에 대해 ‘유아발달과 생태학적 맥락’이라는 별도의 장을 마련하였다.

목차

차 례
머리말

chapter 01 유아발달 이해의 기초
1. 유아기 발달의 특성
2. 발달의 개념과 원리
3. 발달의 영역 및 시기 구분
4.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5. 발달 연구의 주요 쟁점

chapter 02 유아발달 이론
1. 정신분석학적 관점
2. 학습적 관점
3. 인지적 관점
4. 생물학적 관점: 진화론적 관점
5. 사회맥락적 관점: 인간생태학 이론

chapter 03 유아발달 연구방법
1. 유아발달 연구의 이해와 목적
2. 자료수집 방법
3. 연구설계
4. 유아발달 연구의 접근방법
5. 유아발달 연구에서의 윤리적 문제

chapter 04 신체 및 운동발달
1. 신체발달
2. 운동발달
3. 뇌발달
4. 신체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5. 신체발달을 위한 부모 및 교사의 역할

chapter 05 인지발달
1. 사 고
2. 기 억
3. 지 능
4. 창의성
5. 인지발달을 위한 부모 및 교사의 역할

chapter 06 언어발달
1. 언어의 특성
2. 언어발달 이론
3. 유아기 언어발달의 특징
4. 언어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5. 언어발달을 위한 부모 및 교사의 역할

chapter 07 정서발달
1. 정서의 개념
2. 정서발달의 이론적 관점
3. 유아기의 정서발달
4. 정서발달을 위한 부모 및 교사의 역할

chapter 08 사회성발달
1. 자아의 발달
2. 성차의 발달
3. 도덕성의 발달
4. 사회적 능력의 발달
5. 사회성발달을 위한 부모 및 교사의 역할

chapter 09 발달 이상
1. 유아기 발달 이상
2. 장애 유아를 위한 부모 및 교사의 역할
3. 장애 유아 통합교육

chapter 10 유아발달과 생태학적 맥락
1. 가 족
2. 유아교육 및 보육기관
3. 대중매체와 문화환경
4. 육아지원 및 가족 정책

저자 소개

<b>이 영(Lee, Young)</b>

Cornell University(미), Dept. of Human Development & Family Studies 졸업(Ph.D.)

현) 연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교수



<b>김온기(Kim, Ongi)</b>

연세대학교 대학원 아동학과 졸업(Ph.D.)

현) 푸르니보육지원재단 상임이사



<b>조성연(Cho, Songyon)</b>

연세대학교 대학원 아동학과 졸업(Ph.D.)

현) 호서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



<b>이혜경(Lee, Haekyoung)</b>

연세대학교 대학원 아동학과 졸업(Ph.D.)

현) 연세대학교 대학원 아동·가족학과 강사



<b>이선원(Lee, Seonwon)</b>

연세대학교 대학원 아동학과 졸업(박사과정 수료)

현) 서해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



<b>이정림(Lee, Jeongrim)</b>

Texas Tech University(미), Dept. of Educational Psychology 졸업(Ph.D.)

현) 육아정책연구소 연구위원



<b>나유미(Rah, Yumee)</b>

연세대학교 대학원 아동학과 졸업(Ph.D.)

현) International Reformed University & Seminary (미) 사회과학 전공교수



<b>김상림(Kim, Sanglim)</b>

University of Houston(미), Dept. of Curriculum & Instruction 졸업(Ed.D.)

현) 인천대학교 소비자·아동학과 교수



<b>나종혜(Rha, Jonghay)</b>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미), Dept. of Human Development and Family Studies 졸업(Ph.D.)

현) 한남대학교 아동복지학과 교수

알림

X

알림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