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검색
MY
도널드 위니컷_아동정신분석의 거장
상담과 심리치료 주요인물 시리즈 ③
저자 : Michael Jacobs | 역자 : 김은정
페이지 : 352p
  • 가격
  • ISBN
  • 발행일
  • 판형
  • 제본
  • 수량
  • 15,000원
  • 978-89-997-0533-5 93180
  • 2014-12-30
  • 신국판변형
  • 반양장

내용

도널드 W. 위니컷은 정신분석가이자 소아과의사였다. 이런 경력으로 인해 그의 관심은 주로 아동발달 영역이었고, 아동과 어머니의 상호작용에 초점을 두었으며, 아동의 심리치료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비록 위니컷이 프로이트와 클라인의 영향을 받았지만, 그의 이론과 저술들은 그만의 독특하고 창의적인 관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발달과 창의적인 치료기법들에 대한 그의 사상은 후대 정신분석학자뿐 아니라, 많은 다른 이론들의 심리치료자들에게도 영향을 주었고, 자기심리학을 창시한 코헛의 개념을 이끌었다. 또한 그는 어느 정신분석가 못지않게 ‘충분히 좋은 엄마’ ‘촉진적 환경’ ‘중간 대상’ ‘선긋기 놀이’ 등과 같은 대중적으로 인기 있는 개념들을 소개하였다.
이 책은 위니컷의 삶과 성격, 그의 이론적·치료적 공헌, 그의 이론과 치료에 대한 비평, 그의 전반적인 영향력 등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고 있어 우리의 이해를 돕는다. 이 책의 저자는 자료의 한계로 많은 부분이 부족하다고 겸손하게 얘기하고 있지만, 다른 어느 책보다 위니컷의 개인적 삶과 정신분석가로의 여정을 잘 소개하고 있다. 또한 그는 이 사람이 위니컷의 전기를 쓰는 저자인가를 가끔 의심하게 만들 만큼 건설적인 비판의 눈으로 서술하고 있다. 따라서 전기를 읽을 때 느끼는 영웅 만들기가 아닌 위니컷을 객관적으로 평가해 볼 수 있는 좋은 입문서로서 이 책은 손색이 없다.

목차

역자 서문
저자 서문


1. D. W. Winnicott의 생애
초기 생애
Darwin과 Freud의 발견
삶의 여정: 경력과 분석 그리고 결혼
정신분석의 입장
‘모든 것 이상이다’

2. 이론에 대한 주요한 공헌
Winnicott의 사고의 영향
성숙의 성취
모성 돌봄의 과제
아버지와 가족
장애의 분류
요 약

3. 치료에서의 주요 공헌
소아과의사이자 정신분석가
아동과의 작업
혀누르개 놀이
선긋기
Piggle의 사례
버텨 주기와 간직하기
미움과 역전이
‘매우 개인적인 기법’
교사와 슈퍼바이저

4. 비판과 반박
서 론
낙관주의와 비관주의
환 상
중간 대상
분 화
모성 돌봄의 이상화
아버지
성 차
사회구조의 의미
성 욕
철학적 비평
치료적 관계
결 론

5. D. W. Winnicott의 전반적 영향
Winnicott 연구회
실제적인 적용
소아과학
미국에서의 Winnicott의 영향
Winnicott과 Lacan 그리고 프랑스
영국에서의 Winnicott
사회복지
Squiggle 재단
결 론

D. W. Winnicott의 주요한 연구업적 목록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 소개

<b>Michael Jacobs</b>

현재 영국의 Bournemouth 대학 Institute of Health and Community Studies의 객원 교수로, Dorset에서 심리치료자로 개업 활동을 하고 있다. 이전에는 Leicester 대학 Counselling and Psychotherapy Programme의 디렉터로 있었다. 저서로는 이 책과 같은 시리즈의 Sigmund Freud(1992)와 Psychodynamic Counselling in Action(1999) 등이 있다.

역자 소개

<b>김은정</b>

서울대학교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심리학과에서 임상심리학을 전공하여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대병원에서 임상심리 레지던트 과정을 수료하였으며, 임상심리전문가 및 정신보건임상심리사(1급) 자격을 취득하였다. 삼성공익재단 사회정신건강연구소 선임연구원과 아주심리상담센터장을 역임하였고, 현재는 아주대학교 심리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면서 대학생 학생상담센터장을 겸직하고 있다. 저서로는 『사회공포증』, 『특정공포증』(공저), 『심리장애의 인지행동적 접근』(공저) 등이 있고, 역서로는 『놀이치료의 기초』, 『놀이치료 사례집』(공역), 『인지행동치료 핸드북』(공역), 『우울증의 인지치료』(공역) 등이 있다.

알림

X

알림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