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오늘날과 같이 지식과 정보를 효과적으로 수집∙축적하여 공유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유통하는 것이 새로운 지식을 창출하기 위한 주요 요소가 되는 지식기반사회에서는 질 높은 새로운 지식을 많이 창출하는 사회가 국제 사회를 이끌게 될 것이다. 따라서 지금은 산업사회의 교육에서 중요한 목표가 되었던 지식전수식 교육보다 새로운 지식을 창출하는 교육을 강조하고 있으며,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에 따라 지식이 필요한 사람에게 자유롭게 유통하고 있으므로 전통적인 학교교육의 기능과 역할에도 변화가 예상되고 있다.
이에 따라 강조되는 능력이 창의성이다 창의적인 사고와 효과적인 사고의 가치 및 태도가 중요하다는 것은 이미 많은 학자가 강조해 왔다. 그리고 창의적 잠재력의 이용과 발달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 가치 및 태도를 학교에서 가르칠 수 있다고 본다. 하지만 만일 학생들이 세상에 깊은 관심을 갖지 않는다면 어떻게 관심을 갖도록 유도할 것인지, 학생들이 반성적 사고를 하지 않는다면 어떻게 그 가치를 강조할 것인지, 만일 그들의 마음이 굳게 닫혀 있다면 어떻게 새로운 아이디어를 발현하게 할 것인지 등의 문제는 쉽지 않다.
따라서 한국영재교육학회에서는 매달 콜로키움을 개최하여 많은 교수, 연구자, 교사를 대상으로 영재와 영재교육에 관해 연구 및 교육 활동을 하고 있다. 또한 이 모임을 통해 번역∙저술 활동을 함으로써 해당 분야에 큰 기여를 하고 있다. 이 책은 그 성과로서 탄생한 것으로, 이 책이 우리나라 영재교육 영역에서뿐만 아니라 정규교육 현장에서도 학생들의 창의성 계발에 도움을 줄 것이며, 특히 교실 내 학생들의 창의성 발견 및 증진, 교육과정과 프로그램의 개발, 지도 등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