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이 책은 최근 생활과학연구의 동향과 주제, 다양한 논문을 실례로 포함시킴으로써 생활과학 연구방법론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생활과학 분야의 연구수행과 관련하여 연구주제의 선정, 연구대상 및 측정도구의 선정, 자료수집 방법, 자료분석 및 연구결과의 보고까지 체계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생활과학 연구방법론』은 총 10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1장은 생활과학 연구방법론을 이해하기 위한 기초로서 생활과학의 개념 및 목적과 연구의 절차 등을 다루었다. 2장과 3장은 연구의 수행에 앞서 연구대상과 측정도구, 자료수집 방법을 선정하는 것과 관련된 것으로 표집과 측정, 자료수집 방법에 대해 살펴보았다. 4장은 사회과학에서 주로 사용되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컴퓨터 프로그램의 활용에 대한 기초적인 방법들을 기술하였다. 5장은 기술통계에 관한 것으로 빈도분포, 집중경향치, 분산도, 상관 등에 대해 살펴보았다. 6장은 추리통계의 기초와 가설검증에 대해 살펴보았다. 7장은 평균차 검증에 사용되는 t검증, 변량분석, 반복측정 변량분석, 공변량분석 등의 기본 원리, 기본 가정 및 SPSS를 활용하여 분석하고 해석하는 방법을 다루었다. 8장은 관련성 검증과 관련된 상관분석, 회귀분석, 요인분석의 기본 원리, 기본 가정 및 SPSS를 활용하여 분석하고 해석하는 방법을 다루었다. 9장은 비모수 검증 중 대표적으로 카이제곱검증의 기본 원리, 기본 가정 및 SPSS를 활용하여 분석하고 해석하는 방법을 다루었다. 마지막으로 10장에서는 연구보고서를 작성하는 방법에 대해 제시하였다.
이 책은 생활과학 분야에서의 연구방법론 강의를 위한 교재뿐만 아니라 이 분야의 논문을 준비하는 연구자들의 지침서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