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오늘날 교육현장은 많은 변화를 경험하고 있다. 수준별 교육과정의 도입, 융합인재교육(STEAM) 체제의 도입, 인성・진로진학 교육의 강화 등이 교육환경의 변화에 대응하는 학교교육의 대표적인 새로운 동향이다. 더불어 경쟁과 효율 그리고 수요자를 중시하는 일련의 교육개혁 방안은 기존의 교육정책 및 제도에 근본적인 변화를 요구해 교육현장에 이른바 ‘혼란의 시기(time of disruption)’를 도래하게 만들었다. 이러한 급격한 교육체제의 변화에 발맞춰 예비 교사 및 현장 교사에게는 그 어느 때보다 수업전문성과 생활지도 능력의 제고, 그리고 수요자 중심의 교육정책과 제도 변화에 대한 이해가 요구된다.
이 책의 저자들은 학문적 실천가(scholarly practitioners)로서, 그러한 지식의 필요성을 공감하고 교직실무 교재를 집필하여 예비 교사에게 차후 교직 업무를 실제로 수행하는 데 필요한 이론적이며 실제적인 지식 및 간접적인 경험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즉, 이 책은 교직실무 과목의 도입 취지를 충실히 담아내기 위해 예비 교사와 현장 교사들이 교직실무에 대한 이론적ㆍ실천적 안목과 능력을 함양할 수 있도록 내용을 이해하기 쉽게, 그리고 체계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이 책은 총 4부 15개 장으로 구성하여 교원 업무의 전문성 제고라는 측면에서 예비 교사뿐만 아니라 현직 초・중등학교 교사가 교직실무에 대한 이해를 충분히 높이도록 돕는다. 1부 ‘교직과 교사’에서는 교직의 이해, 교직윤리, 교원의 권리와 의무, 교직단체, 교육 관련 법규를 다루고, 2부 ‘학교・학급 경영 실무’에서는 학교경영, 학급경영 그리고 학교운영위원회를 살펴본다. 또한 3부 ‘교수・학습 실무’에서는 학교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 교수・학습과 ICT 활용교육, 생활지도와 상담, 수업 장학의 이해와 실제를 다루고, 마지막으로 4부 ‘학교 행정 실무’에서는 학사실무, 인사실무, 사무관리와 학교회계를 살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