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현장 교사와 교육 연구자들의 부단한 노력에도 왜 교실 수업은 그다지 개선되지 않는가?
공교육이 무너져 간다고 아우성치는 현실 속에도 자신의 수업 개선을 위해 강한 열정을 갖고 수업 연구와 수업 분석에 관심을 갖고 있는 교사가 존재한다. 그러나 이러한 열정적인 현장의 교사들은 수업에 대한 체계적인 관찰과 분석 방법을 알지 못해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
예비 교사의 양성 기관인 교육대학이나 사범대학의 교육과정도 마찬가지다. 수업에 대한 계획(Plan), 실행(Do), 평가(See)의 과정에 대해 이론적인 측면만이 지나치게 강조되고 있으며, 수업과 관련한 경험적이고 실제적인 측면은 거의 다루어지지 않고 있다.
특히 수업 관찰과 분석 과정은 교사들의 수업에 대한 안목을 키우고 실질적인 수업 개선에 가장 필요한 핵심적인 부분임에도 불구하고 대학에서 체계적으로 가르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저자는 이러한 현실에 문제를 느끼고 학교 교육 활동 중에서 가장 핵심이 되고 있는 ‘교실 수업’을 대상으로 보다 더 발전된 수업을 만들고 실천하기 위해서 매일매일 노력하고 있는 학교 현장에 계시는 선생님들과 교사를 꿈꾸며 학업에 전념하고 있는 예비 교사들을 위해 이 책을 집필하였다. 더 나아가 수업 연구 혹은 수업 분석에 관한 이론과 실천적인 분야에서 학문적인 단계를 조금이라도 높이는 데 도움이 되길 희망하고 있다.
이번 2판에서는 그간의 수업 분석에 대한 임상 연구에 따른 경험과 안목을 바탕으로 일부 내용의 삭제, 수정, 첨가를 통해 책의 내용을 보완하였다. 특히 수업 분석의 원리와 방법에 대해 보다 상세한 설명을 추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