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검색
MY
놀이지도
저자 : 이순형, 김헤라, 권기남, 김지현, 김진경, 김진욱, 서주현, 이정현, 최인화, 유주연, 안혜령, 이은중
페이지 : 336p
  • 가격
  • ISBN
  • 발행일
  • 판형
  • 제본
  • 수량
  • 19,000원
  • 978-89-997-0329-4 93370
  • 2014-02-28
  • 4x6배판
  • 양장

내용

이 책에서는 영유아와 의미 있는 상호작용을 하는 영유아교사에게 ‘놀이’를 어떻게 지도해야 할지에 대한 이론적·실제적 내용 및 접근법을 다루고 있다. 영유아에게 놀이야말로 진정한 발달이자 학습의 맥락이라는 점을 부정하는 교사는 없지만, 실제로 어떻게 놀이장면에 접근하고 이를 보육·교육 활동으로 끌어올 것인지에 대해서는 사실 아직 부족한 점이 많은 한국의 보육·교육 현장이다. 이러한 현직 및 예비 영유아교사들을 위해 보육현장 및 이론을 통해 영유아를 깊이 있게 다루어 본 전문가들이 뜻을 모아 ‘놀이지도’ 교재를 집필하게 되었다. 왜 영유아시기에 놀이가 중요한지, 영유아의 놀이를 어떻게 관찰하고 해석하는지, 영유아의 놀이에 어떻게 개입하고 상호작용하는지, 영유아가 놀이하는 환경을 어떻게 구성해 줄 수 있을지 등 이 모든 내용에 대해 체계적으로 정리하고자 노력하였다.
이 책은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다. 첫 번째 부분에서는 놀이지도의 이론적 기초를 정리하였다. 놀이의 개념과 특성이 무엇인지, 놀이를 설명하는 이론들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영유아의 놀이가 어떠한 유형으로 발달하는지, 영유아가 놀이를 통해 얻게 되는 발달적 효과는 무엇인지, 놀이의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어떤 것인지에 대해 체계적으로 정리하였다.
두 번째 부분에서는 교사를 비롯한 성인들이 놀이지도의 실제를 다루기 위한 기초를 다루었다. 놀이환경을 어떻게 구성할 것인지, 영유아를 위한 놀잇감은 어떤 것이 있고 그것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 교사가 놀이지도를 할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전략들에는 무엇이 있는지, 특수한 다양한 영유아 집단의 놀이는 어떻게 접근할 것인지, 영유아의 심리치료에 놀이를 접목시킨 방법들에는 어떠한 것이 있는지에 대한 유용한 내용들을 다루었다.
세 번째 부분에서는 놀이를 지도할 때 활용할 수 있는 실질적인 활동사례들을 제공하고 있다. 보육·교육기관에서 주로 관찰되는 영유아의 놀이유형별로 흥미로운 활동사례들을 다루어 현장의 교사들 및 예비교사들이 현장에 적용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목차

Chapter 01 놀이 개념 및 특성
1. 놀이의 개념
2. 놀이를 보는 이론적 관점
3. 놀이의 기능
4. 놀이의 변천
5. 생애주기에 따른 놀이의 변화
6. 국가의 발전 단계별 아동놀이
7. 놀이노래의 의미

Chapter 02 놀이이론
1. 고전적 놀이이론
2. 현대적 놀이이론

Chapter 03 놀이유형별 발달
1. 놀이의 발달
2. 놀이유형별 발달

Chapter 04 놀이의 효과
1. 신체발달
2. 인지발달
3. 언어발달
4. 사회성발달
5. 정서발달

Chapter 05 놀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 개인적 요인
2. 사회적 요인
3. 문화적 요인

Chapter 06 놀이환경
1. 놀이환경의 구성
2. 실내놀이환경 구성
3. 실외놀이환경 구성
4. 안전한 놀이환경

Chapter 07 놀잇감
1. 아동과 놀잇감
2. 놀잇감의 분류
3. 놀이의 유형에 따른 놀잇감
4. 놀잇감의 조건
5. 놀잇감의 활용과 지도

Chapter 08 놀이지도전략
1. 놀이지도 시 교사의 역할
2. 놀이유형별 놀이지도

Chapter 09 다양한 집단의 놀이
1. 장애통합집단의 놀이
2. 연령통합집단의 놀이
3. 다문화집단의 놀이

Chapter 10 놀이치료적 개입
1. 놀이의 치료적 가치
2. 놀이치료의 정의 및 역사
3. 놀이치료의 이론적 배경
4. 놀이치료의 접근법

Chapter 11 놀이지도의 실제
1. 구성놀이
2. 조작놀이
3. 신체놀이
4. 극놀이
5. 언어놀이

저자 소개

<b>이순형</b>

서울대학교 대학원 아동학 박사

한국아동학회, 인간발달학회 회장

현 서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어린이보육지원센터 센터장



<b>김헤라</b>

서울대학교 대학원 아동학 박사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어린이집 주임교사

현 대덕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



<b>권기남</b>

서울대학교 대학원 아동학 박사

하이닉스어린이집, 국민체육진흥공단 어린이집 원장

현 울산과학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



<b>김지현</b>

서울대학교 대학원 아동학 박사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어린이집 원장

현 명지대학교 아동학과 교수



<b>김진경</b>

서울대학교 대학원 아동학 박사

육아정책연구소 부연구위원

남서울대학교 아동복지학과 교수

현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



<b>김진욱</b>

서울대학교 대학원 아동학 박사

서울대학교 어린이보육지원센터 백학어린이집 원장

서울법원어린이집 원장

현 명지대학교 아동학과 교수



<b>서주현</b>

서울대학교 대학원 아동학 박사

국민체육진흥공단 어린이집 원장

현 서경대학교 아동학과 대우교수



<b>이정현</b>

서울대학교 대학원 아동학 박사

서울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연수연구원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유아교육협동과정 강사

현 한국외국어대학교 강사



<b>최인화</b>

서울대학교 대학원 아동학 박사

현 명지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b>유주연</b>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과정 수료(아동학 전공)

현 서경대학교 아동학과 겸임교수, CJ 키즈빌 어린이집 원장



<b>안혜령</b>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과정 수료(아동학 전공)

서울대학교 어린이보육지원센터 느티나무어린이집 원장

현 서울법원어린이집 원장



<b>이은중</b>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과정 수료(아동학 전공)

현 서울대학교 어린이보육지원센터 백학어린이집 원감

알림

X

알림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