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장 프로그램의 토대를 견고하게 하라
성공적인 영재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열쇠
영재교육 위원회
프로그램 개발과 계획
학생의 판별, 선정, 배치
전문성 계발과 참여
홍보
학부모 참여
프로그램 평가
네트워킹과 경향 점검
사명과 철학 진술
지역 교육청의 철학과 사명을 살펴보라
교육청의 정책 방향에 적합한 진술문을 개발하라
요구분석
정보 수집과 사용을 위한 제언
영재교육 프로그램의 초점 설정
2장 영재 판별을 위해 그물을 넓게 펼치라
용어 정의
함정 1: 포괄적이지 않은 정의 만들기
함정 2: 모든 아동들이 영재라는 것을 암시해 줄 수 있는 정의 만들기
판별: 첫 단계, 그리고 잘못된 단계
함정 3: 판별을 과정이 아니라 하나의 이벤트로 취급하기
함정 4: 한번 개설한 프로그램을 결코 바꾸지 않기
함정 5: 한정된 판별법 사용하기
함정 6: 판별 준거와 프로그램의 불일치
새롭게 시작하기
다양한 판별법 사용
표준화된 지능 검사와 성취도 검사
교사 추천
학부모 체크리스트
학생 추천
기타 방법
다음 단계
선발하기
위원들과 사례를 면밀히 검토하기
결과 공유하기
중도 탈락 정책 계획하기
관점 유지하기
3장 잘 구조화된 프로그램의 기초를 놓으라
단계 1: 수월성 목록 작성
단계 2: 영재들 간의 차이 고려
단계 3: 프로그램 목적 설정
단계 4: 프로그램 구조 설정
4장 활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계획하라
일반학급에서의 영재교육
조기 입학과 속진
통합학급
학급 내 집단편성
차별화 교육과정과 수업
일반학급에서의 영재교육: 장점과 단점
재정 문제
인사 문제
영재학생을 위한 특별학급
풀 아웃 학급
독립 영재학급
능력별 집단학급
고등학교 우등학급 및 상급학년 배치
가중치 적용 성적
세미나
영재학생을 위한 특수학교
기타 프로그램
멘토십
심화 및 지원 프로그램
여름방학 및 교외 프로그램
5장 프로그램 평가를 계획하고 실행하라
왜 평가를 하는가
누가 참여하는가
평가 계획 및 실행자
정보 원천
언제, 어떻게 정보를 수집할 것인가
시험점수 자료
학생 포트폴리오
인터뷰
어떻게 평가 결과를 보고할 것인가
무엇을 외부에 추천할 것인가
금메달을 얻기 위해 노력하기
은메달을 얻기 위해 노력하기
동메달을 얻기 위해 노력하기
6장 의사소통과 관계형성을 통해 프로그램을 강화하라
프로그램을 가시화하라
유대관계를 형성하라
유용한 정보와 데이터를 제공하라
학부모들을 위한 뉴스레터를 발행하라
홍보하라
학부모와 교사를 위한 정보원이 되라
학부모를 참여시키고, 정보를 제공하고, 지지하라
일반교사들과 밀접한 관계를 형성하라
자원 도서관을 운영하라
교원 연수의 기회를 제공하라
베테랑 영재 담당교사들을 확보하라
영재학생들의 사회적·정서적 요구를 지원하라
완벽주의
친구들의 놀림
세계적인 문제에 대한 걱정과 무력감
불균형 발달
강렬함
스트레스와 탈진
학부모와 학생의 관심사를 고려하라
나는 내 아이가 영재교육 프로그램에 들어가길 원해요
내 아이는 일반수업에서는 도전감을 받지 못해요
내 아이가 영재교육 프로그램에 더 이상 참여하지 않았으면 좋겠어요
어떻게 하면 영재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을까요
마지막 몇 가지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