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검색
MY
연극치료의 진단평가
저자 : David Read Johnson, Susana Pendzik, Stephen Snow 편저 | 역자 : 박미리, 김숙현
페이지 : 512p
  • 가격
  • ISBN
  • 발행일
  • 판형
  • 제본
  • 수량
  • 22,000원
  • 978-89-997-0245-7 93180
  • 2013-11-25
  • 반양장


내용

이 책은 연극치료를 할 때 진단평가에서 실제로 사용되는 최상의 부분들을 취합하고 있다. 편저자들과 저자들은 실제로 연극치료의 진단평가 방법을 오랫동안 연구하고 개발한 학자이자 실제적인 치료자들이다. 이들은 역사, 개념과 원리, 그리고 연극치료에서 최근 진단평가 동향을 검토하여 이 책을 저술하였다. 많은 진단평가의 관점은 모든 연극치료사에게 다음과 같은 중요한 질문들을 던진다. 치료사들은 환자를 관찰할 때 무엇을 볼 것인가? 비슷한 현상에 대해 우리가 사용하는 다양한 용어들은 타인들과의 정보를 공유하는 우리의 능력에 어떤 지장을 주는가? 과학과 경험주의와의 연관성은 무엇인가? 연극치료는 정량화할 수 있는 것인가? 그리고 우리는 그렇게 되기를 원하는가?
이 책의 많은 장에는 개인 프로젝트로 혼자 작업했던 여러 치료사들의 노고가 담겨 있다. 몇몇 사람들은 자신의 영감을 학생들과 나누기도 하였다. 이 책에는 이 책을 통해 진단평가에 관심 있는 사람들이 함께 모여 서로의 작업을 나눌 수 있는 토대가 형성되기를 바라는 저자들의 마음과, 연극치료에 몸담고 있는 사람들이 함께 대화를 나누고 서로 지지하면서 힘을 합쳐 이 분야를 더욱 발전시킬 수 있게 되기를 바라는 마음이 담겨 있다.

목차

제1부 개괄 조사

제1장 연극치료 분야의 진단평가 역사
진단평가에 관심이 많았던 시대
연극치료 분야에 있어서 진단평가 역사의 개괄
모레노와 군전략사무국(OSS): 역할연기 진단평가의 초기 실험
결 론

제2장 연극치료 진단평가의 개념과 원리
진단평가의 목적
과학적 방법
수량화
신뢰도
타당성
삶의 만족도, 증후군, 그리고 기능화
방법론
극적인 행위를 언어화하기
중요한 문제는 무엇인가?
결 론

제3장 연극치료 진단평가에 있어서 예술의 위상
각 장의 개괄
비교 분석
결 론


제2부 개별적 연극치료 진단평가

제4장 역할연기진단검사
역사와 배경
검사 절차의 발달
임상적 진단평가
연구의 적용
사 례
앞으로의 방향

제5장 치유적 역할 캐스팅: 치료적 공연에서의 진단평가
연극치료에서의 역할, 치료적 공연, 그리고 삶
배역 선정과 진단평가
치료적 공연을 위한 모델의 발전
진단평가 연구와 치료적 공연의 접점
사례 연구
결 론
부록 A

제6장 여섯 조각 이야기 만들기의 재고: 7단계의 진단평가와 임상적 진단평가
방법의 기원
6PSM을 사용한 7단계의 진단평가
사 례
임상 진단을 받은 참여자의 6PSM
6PSM-C의 검증
6PSM의 실제
결 론

제7장 역할 이론을 통한 진단평가
역할 이론
역할 이론을 통한 진단평가의 개발
결 론

제8장 체현-투사-역할을 통한 연극치료 진단평가
초기의 영향
진단평가에 대한 EPR의 적용
신경-극적-놀이
결 론

제9장 6­열쇠 모델-통합 진단평가 접근법
첫째 열쇠: 통로
둘째 열쇠: 특성
셋째 열쇠: 인물과 역할
넷째 열쇠: 내용-플롯, 주제 그리고 갈등
다섯째 열쇠: 극적 현실에 대한 반응
여섯째 열쇠: 메타 현실-명시되지 않은 숨은 의미
사례 연구-사이먼과의 4회기
후속 조치
사이먼의 사례를 마치며
결 론

제10장 심리학적 가계도, 스펙토그램, 그리고 역할-전환의 진단평가
진단평가 워밍업
텔레와 잠재적 관계성
치료에 참여하는 참여자의 준비상태
적극적 청취
참여자의 인생사와 사회적 네트워크
결 론

제11장 네덜란드 연극 관찰 기법
역 사
이론적 배경
기 법
연극 관찰 점검표
기록 문서
결 론

제12장 자기와 공간 그리고 타자를 진단평가하기: 네덜란드-벨기에적인 연극치료 진단평가 접근
네덜란드와 벨기에의 연극치료
연극치료 진단평가
연극치료 진단평가에서의 위험요인과 장애물
통합적 진단평가 모델
결 론

제13장 청소년의 목소리 회복을 위한 연극치료 진단평가
연극치료 진단평가
종합적으로 사용한 사례
결 론

제14장 성장을 위한 리허설을 이용한 커플치료의 대인관계 기능 진단평가
회기 구성 방식
커플치료에서의 진단평가
앞으로의 연구
RfG 상연의 구체적인 효과에 대한 평가
결 론

제15장 산후우울증 여성을 위한 표준화와 개별화의 혼합 진단 접근법
영국의 국가 건강 정책
사례 연구-엄마와의 문제
결 론

저자 소개

<b>데이비드 리드 존슨(David Read Johnson, PhD, RDT-BCT)</b>

뉴욕 예술심리치료연구소 책임자이며, 코네티컷 주 뉴헤븐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센터의 공동 책임자다. 연극치료의 한 방법론인 발달변형(Developmental Transformations)을 창안하였다.



<b>수잔나 펜직(Susana Pendzik, PhD, RDT)</b>

이스라엘 헤브루 대학교 예술연극학과(School of Arts and the Theatre Studies Department), 스위스 게셀샤프트 연극치료 훈련과정(Dramatherapie Gesellschaft Training Program), 이스라엘의 텔 하이 대학에서 강의하고 있으며, 연극적 공명(dramatic resonances) 6­열쇠 모델을 개발하였다.



<b>스테판 스노우(Stephen Snow, PhD, RDT-BCT)</b>

인류발전예술센터(Centre for the Arts in Human Development, 1996)와 콘코디아 연극치료 대학원 과정(1997)을 설립하였고, 현재 콘코디아 대학교 창조예술치료학과 교수다.

역자 소개

<b>박미리</b>

용인대학교 뮤지컬 연극학과 및 예술대학원 연극치료학과 교수이며 (사)한국연극치료협회장이다. 이화여자대학교 불어불문학과 및 동 대학원을 졸업(문학박사)하고, 프랑스 파리 10대학의 불문학 박사과정을 수료하였다. 주요 저서로는 『발달장애와 연극치료』(학지사, 2009)와 『감정 모델 연극치료』(학지사, 2013)가 있다. 연극심리상담사 양성과정을 개설하여 근 10년간 감정과 역할 중심의 연극치료를 가르치고 있으며, 훌륭한 많은 제자를 배출하여 건강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 힘쓰고 있다.



<b>김숙현</b>

연극평론가이며 한국연극학회 및 연극예술치료학회 이사다. 전북대학교 불어불문학과 및 동국대학교 대학원 연극학과 석사·박사 과정을 마쳤다(문학박사). 주요 논문으로는 「햄릿 캐릭터에 재현된 라캉의 주체화 연구」 「연극치료와 변형-데이비드 리드 존슨의 발달변형이론을 중심으로」가 있다. 연극학과 정신분석학을 가르치면서 이를 기반으로 한 연극치료의 모델을 연구하고 있다.

알림

X

알림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