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검색
MY
재활평가
저자 : Brian F. Bolton, Randall M. Parker | 역자 : 신현욱, 이은정, 김정한, 안성희, 김원호, 박진희
페이지 : 648p
  • 가격
  • ISBN
  • 발행일
  • 판형
  • 제본
  • 수량
  • 25,000원
  • 978-89-997-0222-8 93180
  • 2013-10-01
  • 4x6배판
  • 양장

내용

이 책은 총 3부로 구성되어 있다. 제1부에서는 측정의 기초로서 점수와 규준, 신뢰도·타당도를 포함한 기본적 심리측정의 개념을 제시한다. 또한 평가 결과 해석에 대한 간단한 소개와 추가적인 정보에 대한 개요를 포함하고 있다. 제2부에서는 5개 영역에 걸친 최신의 평가도구─지능검사, 다중요인 적성검사, 성격검사, 정신병리 검사, 직업검사─에 대한 소개 및 요약을 제시한다. 제3부는 재활평가 적용으로서, 평가 체계 및 모델을 설명하고, 특수한 평가 영역에 대하여 요약하며, 특정 장애 집단에 대한 평가 절차를 세부적으로 제시한다.

목차

역자 서문
머리말

Part 1 측정의 핵심 개념

Chapter 01 점수와 규준
1. 측정과 검사
2. 점수 해석의 전략과 쟁점
3. 검사 사용에 관한 일반적 지침
4. 평가의 윤리적 원칙
5. 추가 정보
6. 결 론

Chapter 02 신뢰도
1. 검사점수의 일반화
2. 고전적 심리검사 이론
3. 검사점수에서의 편차
4. 신뢰도 계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5. 서로 다른 점수들에 관한 신뢰도
6. 컴퓨터화된 검사의 신뢰도
7. 결 론

Chapter 03 타당도
1. 과학적 맥락에서의 측정
2. 타당도의 증거 유형
3. 측정의 타당도 및 실제적 타당도
4. 결 론

Part 2 영역별 평가도구 고찰

Chapter 04 지능검사
1. 역사적 배경
2. 현재 동향
3. 결 론

Chapter 05 적성검사
1. 적성의 정의
2. 적성검사의 역사
3. 적성검사 소개와 평가
4. 적성평가의 쟁점
5. 결 론

Chapter 06 성격평가
1. 성격을 평가하는 이유
2. 자기보고식 측정 방법의 타당성과 유용성
3. 정상 범위 성격의 다차원성과 구조
4. 주요 성격평가에 대한 검토
5. 성격검사에서 컴퓨터의 역할
6. 결 론

Chapter 07 정신병리 평가
1. 정신병리의 평가
2. 정신병리 평가 시 고려 사항
3. 정신병리의 세부적 측정
4. 결 론

Chapter 08 직업평가도구
1. 직업 흥미 및 태도 검사의 사용
2. 직업평가도구 선택 기준
3. 직업평가도구
4. 평가도구 기준별 척도
5. 결 론

Part 3 재활평가 적용

Chapter 09 인터뷰 평가
1. 평가에서 사용되는 인터뷰의 유형
2. 평가도구로서 인터뷰의 심리측정적 특징
3. 인터뷰 전략 및 기법
4. 컴퓨터 기반의 평가 인터뷰
5. 결 론

Chapter 10 자립평가
1. ICIDH와 ICF
2. 자립평가의 목적
3. 신체적 기능과 자립평가의 과정
4. 자립의 측정
5. 활동과 참여의 측정
6. 결 론

Chapter 11 신경심리평가
1. 신경심리평가 관련 Q & A
2. 신경인지평가
3. 노력, 과장 및 꾀병에 대한 평가
4. 검사 과정에서 생기는 치료적 이점
5. 권 고
6. 학습장애와 관련된 신경심리학적 상담
7. 결 론

Chapter 12 작업행동평가
1. 기능, 행동 및 신체능력 검사
2. 전환기술검사/직업 매칭
3. 작업 표본
4. 상황평가, 직업적성시험 및 현장평가
5. 결 론

Chapter 13 O★NET 직업정보체계
1. O★NET 내용 모델
2. O★NET 직업 기술 정보의 수집
3. O★NET 원형 자료 수집 절차의 평가
4. O★NET 데이터베이스 배포 및 개정
5. O★NET의 현황 및 새로워진 특징
6. 재활 전문가를 위한 O★NET 적용 및 시사점
7. 결 론

Chapter 14 재활 성과 측정
1. 입력-개입-산출 모델
2. 성과 측정
3. 연구 성과
4. 결 론

Chapter 15 진로 발달 및 성숙도 평가
1. 진로 성숙과 의사결정
2. 평가 문제
3. 선택된 평가도구의 검토
4. 결 론

Chapter 16 시각장애인 평가
1. 시각장애인을 위한 검사도구의 사용
2. 시각장애인용 검사도구 개발에서의 과제
3. 시각장애인 검사에서의 고려 사항
4. 시각장애인을 위한 검사 조정
5. 시각장애인을 위한 검사도구
6. 결 론

Chapter 17 청각장애인 평가
1. 청각장애의 정의
2. 평가의 일반적인 쟁점
3. 재활 환경에서의 평가
4. 정신병리 평가와 뇌손상 선별
5. 성취도 검사
6. 적성 및 흥미 검사
7. 의사소통 기술 사정
8. 개인 이력 정보 자료
9. 시청각장애인의 평가
10. 결 론

Chapter 18 지적장애 성인 평가
1. 지적장애의 개념
2. 지적장애 평가
3. 결 론

Chapter 19 정신장애 재활평가
1. 정신장애 재활평가의 실증적 토대
2. 정신장애인을 위한 재활평가의 구성 요소
3. 정신장애 재활을 위한 평가 인터뷰
4. 정신장애 재활평가검사
5. 결 론

Chapter 20 평가에서의 다문화적 쟁점
1. 다문화 관련 핵심 쟁점
2. 문화적 능력
3. 재활평가 서비스
4. 편 향
5. 편향의 수정
6. 재활문화적 능력: 다문화적 평가훈련
7. 결 론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 소개

<b>Brian F. Bolton 박사</b>

위스콘신 매디슨 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수여받았으며, 아칸소-페이엣빌 대학교에서 재활학과 교수 및 심리학과 부교수를 역임하였고, 미국심리학협회, 인성평가학회, 미국심리학회의 재활심리 및 평가·측정·통계 분과 정회원이다. 아칸소 대학교에서 Burlington Northern 교수 연구 업적상, 미국심리학회 재활심리 분과에서 Roger Barker 수훈 연구상, 미국재활상담협회로부터 재활상담 연구 대상, 위스콘신 대학교에서 졸업생 업적상, Buros 연구소 수훈 리뷰를 수상했고, 미국재활상담협회로부터 12개의 연구 프로젝트상을 수상하였다. 또한 직업성격 프로파일, 고용성숙도 인터뷰, 직업성격 보고, 직업기질평가, 기능적 능력 컴퓨터 보고와 같은 평가도구를 개발하였으며, 응용다변량연구학회 회장이었으며, 심리학자, 인본주의 목사다.



<b>Randall M. Parker 박사</b>

컬럼비아 미주리 대학교에서 학위를 수여받았으며, 아칸소-페이엣빌 대학교에서 재활학과 교수 및 심리학과 부교수를 역임하였다. 멜리사 엘리자베스 스튜어트 100주년 교육 교수, 텍사스 오스틴 대학교에서 재활상담학과 학과장 및 특수교육 교수이며, 미국심리학회 재활심리(제22분과), 상담심리(제17분과)의 정회원이다. 또한 위스콘신 매디슨 교육대학 동문 업적상, 텍사스 오스틴 교육대학에서 우수 교수상, 미국재활상담협회로부터 재활상담 연구상의 높은 업적을 가지고 있다. 그는 100여 권 이상의 논문, 논문 편집, 리뷰, 책을 출간하였고, 직업적성조사 및 흥미 스케줄 평가도구를 개발하였으며, 텍사스 심리협회 및 미국재활상담협회의 회장을 역임하였다. 현재는 텍사스 공인 심리학자이며 공인 재활상담사다.

역자 소개

<b>신현욱</b>

University of Wisconsin-Stout 석사 (재활상담학 전공)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박사 (재활심리학 전공)

현 전주대학교 재활학과 교수, 한국직업재활학회 이사, 전주대학교 보조공학센터 센터장

관심분야 재활평가, 직업재활상담, 근거 중심 재활 개입, 재활전달체계, 보조 공학 서비스,

직업재활 네트워크, 이용자 중심의 직업재활서비스

이메일 vexme@hanmail.net



<b>이은정</b>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 (발달심리 전공)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박사 (재활심리학 전공)

현 Illinois Institute of Technology 재활심리학과 교수, 미국심리학회 재활심리분과 회원자격심사위원장, 미국재활교육협회 이사

관심분야 장애인의 사회심리 및 직업적응, 우울증 모델 개발, 재활에서의 긍정 심리 및 건강심리 활용, 연구방법론, 재활상담에서의 다중문화적 접근 활용

이메일 elee20@iit.edu



<b>김정한</b>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석사 (재활심리학 전공)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박사 (재활심리학 전공)

현 Virginia Commonwealth University 재활상담학과 교수

관심분야 장애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있어 성격적 강점 및 미덕, 회복 탄력성, 복지, 직업적 성공

이메일 jhkim3@vcu.edu



<b>안성희</b>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 (상담심리학 전공)

University of Arkansas 박사 (재활상담학 전공)

현 University of Florida 교환교수,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연구교수, 상담심리전문가

관심분야 정신장애 재활, 조직 내 우울증 관리, 신체 및 정신장애인에 대한 태도 변화, 상담자교육과 슈퍼비전

이메일 rebecca@korea.ac.kr



<b>김원호</b>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교육학 전공)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석사 (재활심리학 전공)

현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교육정책학 박사과정

관심분야 장애인의 심리사회적 적응과정, 장애인과 긍정심리학, 장애인의 진로발달이론

이메일 wvk5054@gmail.com



<b>박진희</b>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 (재활심리학 전공)

Illinois Institute of Technology 석사 (재활심리학 전공)

현 Michigan State University 재활상담교육학 전공 박사과정

관심분야 정신장애인의 재활 및 근거 중심 재활 개념, 재활 전문가의 태도 및 내담자와의 작업 동맹, 재활에서의 긍정 심리, 재활의 문화적 접근

이메일 jpark0916@gmail.com

알림

X

알림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