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
<b>신은수</b>
덕성여자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에서 아동심리 전공으로 석사학위를, 미국 일리노이 대학교(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 대학원에서 유아교육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관심 분야는 유아교육정책과 교사양성제도, 유아교육과정과 교사의 핵심역량, 놀이의 교육적 적용 및 교사의 역할 등이다.
<b>유흥옥</b>
제주국제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중앙대학교 대학원에서 유아교육 전공으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관심 분야는 유아교육과정, 유아교사양성제도, 교육실습과 실습지도교사의 역량 등이다.
<b>안부금</b>
창신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부산대학교 대학원에서 유아교육 전공으로 석사학위를,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에서 유아교육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관심 분야는 유아교육과정, 교사의 전문성과 핵심역량, 놀이의 교육적 적용 및 교사의 역할 등이다.
<b>안경숙</b>
호원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에서 유아교육 전공으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관심 분야는 유아교육과정, 예술경험 영역에서 교사의 전문성, 교사양성제도와 정책, 유아교육기관의 운영 등이다.
<b>김은정</b>
제주국제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에서 유아교육 전공으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관심 분야는 유아교육정책, 놀이의 교육적 적용, 교수학습법과 교사의 전문성 등이다.
<b>유영의</b>
순천향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에서 유아교육 전공으로 석사학위를,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에서 유아교육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관심 분야는 놀이의 교육적 적용 및 교사의 역할, 유아교사의 핵심역량 등이다.
<b>김소향</b>
부산교육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에서 유아교육 전공으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관심 분야는 유아교육정책과 교사양성제도, 유아교육기관의 운영제도, 수학교육과 교사의 전문성 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