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검색
MY
유아교사론
저자 : 신은수, 유흥옥, 안부금, 안경숙, 김은정, 유영의, 김소향
페이지 : 328p
  • 가격
  • ISBN
  • 발행일
  • 판형
  • 제본
  • 수량
  • 17,000원
  • 978-89-997-0099-6 93370
  • 2013-09-10
  • 양장

내용

이 책은 전체 4부, 총 10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부에서는 ‘유아교사의 자격과 역할’을 유아교사의 자격, 자질 및 역할을 중심으로 살펴보았고, 제2부에서는 ‘유아교사의 전문성’을 전문성에 대한 관점과 전문성 증진 방법, 교사의 권리와 의무, 교직윤리, 교사의 발달단계와 효능감을 중심으로 설명하였다. 제3부에서는 ‘유아교사의 직전교육과 현직교육’을 교사의 양성 과정, 교육실습, 직전교육과 현직교육 및 장학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제4부에서는 ‘유아교사 교육의 역사와 현대적 경향’을 우리나라의 유아교사 교육의 역사적 배경과 특징을 살펴본 후, 주요 교육 선진국인 미국, 영국, 프랑스, 일본, 스웨덴 및 싱가포르를 중심으로 변화되는 유아교사 양성제도를 살펴보았고, 마지막으로 현재 유아교사 교육의 정책적 쟁점을 중심으로 발전 방향을 제시하였다.

목차

제1부 유아교사의 자격과 역할

제1장 유아교사의 자격과 자질
1. 유아교사의 자격
2. 유아교사의 자질

제2장 유아교사의 특성과 역할
1. 유아교사직의 특성
2. 유아교사의 역할

제2부 유아교사의 전문성

제3장 유아교사 전문성에 대한 관점 및 방안
1. 전문성에 대한 개념
2. 유아교사 전문성에 대한 논쟁
3. 유아교사 전문성에 대한 다양한 관점
4. 유아교사의 전문성 제고 방안
5. 유아교사의 전문성 발달단계와 증진 방법

제4장 유아교사의 권리와 의무 및 교직윤리
1. 유아교사의 권리와 의무
2. 유아교사의 교직윤리

제5장 유아교사 전문성 증진 방법
1. 유아교사 발달의 의미와 요인
2. 유아교사의 발달단계
3. 유아교사의 효능감

제3부 유아교사의 직전교육과 현직교육

제6장 유아교사의 직전교육
1. 유아교사 양성 교육과정
2. 유아교사의 교육실습

제7장 유아교사의 현직교육과 장학
1. 현직교육
2. 장 학

제4부 유아교사 교육의 역사와 현대적 경향

제8장 유아교사 교육의 역사적 배경
1. 유치원 교사
2. 보육교사

제9장 유아교사 교육의 비교교육적 동향
1. 미 국
2. 영 국
3. 프랑스
4. 일 본
5. 스웨덴
6. 싱가포르

제10장 유아교사 교육의 정책적 쟁점과 발전 방향
1. 유아교사 양성 체제
2. 유아교사 양성 교육과정과 교육 여건
3. 유아교사의 자격 기준
4. 유아교사의 현직교육

저자 소개

<b>신은수</b>

덕성여자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에서 아동심리 전공으로 석사학위를, 미국 일리노이 대학교(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 대학원에서 유아교육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관심 분야는 유아교육정책과 교사양성제도, 유아교육과정과 교사의 핵심역량, 놀이의 교육적 적용 및 교사의 역할 등이다.



<b>유흥옥</b>

제주국제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중앙대학교 대학원에서 유아교육 전공으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관심 분야는 유아교육과정, 유아교사양성제도, 교육실습과 실습지도교사의 역량 등이다.



<b>안부금</b>

창신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부산대학교 대학원에서 유아교육 전공으로 석사학위를,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에서 유아교육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관심 분야는 유아교육과정, 교사의 전문성과 핵심역량, 놀이의 교육적 적용 및 교사의 역할 등이다.



<b>안경숙</b>

호원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에서 유아교육 전공으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관심 분야는 유아교육과정, 예술경험 영역에서 교사의 전문성, 교사양성제도와 정책, 유아교육기관의 운영 등이다.



<b>김은정</b>

제주국제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에서 유아교육 전공으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관심 분야는 유아교육정책, 놀이의 교육적 적용, 교수학습법과 교사의 전문성 등이다.



<b>유영의</b>

순천향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에서 유아교육 전공으로 석사학위를,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에서 유아교육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관심 분야는 놀이의 교육적 적용 및 교사의 역할, 유아교사의 핵심역량 등이다.



<b>김소향</b>

부산교육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에서 유아교육 전공으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관심 분야는 유아교육정책과 교사양성제도, 유아교육기관의 운영제도, 수학교육과 교사의 전문성 등이다.

알림

X

알림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