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학교폭력에 대한 예방과 근절을 위한 노력이 몇몇 지역사회나 일부 학교 및 교사에 의해 이루어진다면 그 실효성은 보장받기 힘들다. 또한 학교폭력 예방과 근절을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안 중 하나가 학교 현장에서 학생들을 지도하는 교사들에 대한 학교폭력의 예방 및 근절을 위한 교육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 측면에서 교원 양성과정에 있는 예비교사들이 ‘학교폭력의 예방 및 대책’ 과목을 학습할 수 있도록 한 것은 시의적절하다.
이 책을 집필하기 위해 학교 현장의 여러 교사에게 자문을 구하였다. 그들에 의하면, 최근 매스컴에 보도된 바와 같이 학급 내 학생지도 및 생활지도의 어려움과 학교폭력 등으로 인하여 교사들이 학급담임 맡기를 기피하고 있으며, 학교폭력 책임교사를 담당한 교사가 휴직을 한 경우도 있다. 그뿐 아니라 명예퇴직을 신청하는 교사의 수는 해마다 급증하고 있다.
자문의 결과, 여러 교사들로부터 먼저 학교폭력 예방과 대책에 관한 이론적인 측면보다는 학교폭력 피해학생, 가해학생, 전체 학생을 지도할 수 있도록 학교 현장에 맞춘 지식과 기술을 배우게 해 달라는 주문이 있었다. 다음으로, 현장 교사들이 가장 어려워하는 부분이 학교폭력이 발생했을 때 어떻게 처리할지 몰라 당황해하거나 심지어 숨기려고 한다는 것인데, 그래서 학교폭력 사안을 잘 처리할 수 있는 매뉴얼이 되도록 집필해 달라는 주문이었다. 끝으로, 현장 교사들에게 가장 절실하고 어려운 부분이 학생상담 관련 지식과 프로그램이라는 것이었다. 특히 학교폭력 책임교사를 맡은 경험이 있는 몇몇 교사는 학교폭력 예방교육 프로그램과 또래상담 프로그램 및 학생자치법정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학교 홈페이지를 통해 정보를 공시하도록 교육부에서 의무화하고 있는데, 자료가 없어 무척 고생을 했던 기억을 되새기면서 이런 내용을 꼭 다루어 줄 것을 요청하였다. 따라서 현장 교사들의 소중한 말씀을 이 책에 담으려고 노력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