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등교를 거부하는 청소년: 평가와 처치를 위한 기능 중심 접근』에는 등교거부 행동을 보이는 청소년을 이해하고 다루기 위해 내가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있는 과정이 나타나 있다. 등교거부 행동은 부모와 전문가들에게 오랫동안 모호하고도 불가사의하며, 정확하게 진술하고 분류하기 어려운 문제로 남아 있다. 이 책은, 기능 중심 모형을 통해 아동임상심리학에서 가장 실체를 이해하기 어려운 집단 중 하나를 정의하고, 조직하고, 평가하며, 다루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한 것이다. 나는 이 책이 기존의 개념을 넘어서서 이 어려운 문제를 다루기 위한 합의를 이끌어 내도록 이 분야를 움직이는 최첨단의 지침이자 촉매제로서 사용되기를 바란다.
이 책에서는 (a) 등교거부 행동에 대한 역사적 문헌들을 개관하고, (b) 등교거부 학생을 분류, 평가, 치료하기 위한 기능 중심의 접근을 제공하는 것이다. 1장에서는 의무교육과 등교거부 분야 연구의 시작에 대한 간략한 역사를 논의한다. 2장은 등교거부 학생의 발생률과 그들의 등교거부 행동과 가장 밀접하게 관련된 요인들을 포괄적으로 요약한다. 3장은 등교거부 학생을 위한 분류 전략들을 기술하고 비판하며, 4장은 기능 중심 모형을 더 깊이 있게 소개한다. 5장은 이들과 가장 관계 깊은 평가 방법, 특히 기능에 대한 평가에 가장 적절한 방법을 검토한다. 6장부터 9장까지는 등교거부의 기능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한 처치 패키지를 강조하면서 등교거부 행동을 다루기 위한 처치 전략들을 요약하고 관련 사례를 제시한다. 10장은 등교거부 행동에 대한 전반적인 예방과 개인적인 재발 방지 전략을 다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