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이 책은 다양한 교육 환경과 정신건강 기관에서 종사하는 상담교육자와 상담 수퍼바이저를 대상으로 하는 이론적 설명과 경험적 연구에 기반한 실제적으로 의미 있는 글들로 구성되었다. 저자는 이 책에서 수퍼바이저, 상담교육자, 수련감독자들에게 정보를 제공하려는 의도를 가지고 중요한 수퍼비전 이론들을 소개하고 비판적으로 검토하고자 했다. 그 밖에도 다음과 같은 첨예한 영역이 다루어졌다. ① 상담 수퍼비전에서의 다문화적 쟁점들(예, 훈련생들의 다문화적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성, 인종, 성정체성, 나이, 장애와 같은 복합적인 정체성 간의 균형을 어떻게 맞추는가), ② 수퍼비전 관계(가장 중요하지만 때로는 수퍼비전의 중요한 요소에서 빠지는)와 그것이 수퍼비전 과정과 결과에 미치는 영향, ③ 진로상담 훈련생 수퍼비전(예, 개인적 발달과 전문적 발달을 통합하는 것과 같이 진로상담 훈련생에게 특히 중요한 수퍼비전 문제들), ④ 학교상담자 수퍼비전(예, 비밀보장과 다중 역할 사이의 균형을 맞추는 것과 같이 학교상담자에게 특히 중요한 수퍼비전 문제들), ⑤ 가족상담자와 집단상담자에 대한 수퍼비전, ⑥ 집단 수퍼비전, ⑦ 상담 수퍼비전과 훈련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고 이해하는 것, ⑧ 수퍼비전에서 윤리와 변호의 문제들, ⑨ 수퍼바이저 훈련. 이 책 전체를 통해 이론이 상담 수퍼바이저가 접하는 실질적인 문제들에 어떻게 적용되는가를 보여 주기 위해 사례를 사용하였다.
이 책은 4부로 나뉘어 있다. 제1부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