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검색
MY
지역사회복지론(2판)
저자 : 박용순, 송진영 공저
페이지 : 400p
  • 가격
  • ISBN
  • 발행일
  • 판형
  • 제본
  • 수량
  • 17,000원
  • 978-89-6330-921-7 93330
  • 2012-09-10
  • 크라운판
  • 양장

도서자료

강의용 PPT는 PC에서만 다운이 가능합니다.(*교수회원만 가능)

내용

이 책은 사회복지 전공 학생들과 독자들이 지역사회복지에 대해 포괄적이고 체계적이며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며, 전체 내용을 3부로 구분하여 ‘지역사회복지 총론’ ‘지역사회복지 개입론’ ‘지역사회복지 분야론’으로 제시하였다.
제1부 ‘지역사회복지 총론’에서는 지역사회가 어떻게 구성되어 있고, 그 역사적 배경은 어떠하며, 특히 지역사회복지의 이론과 실천을 통해 지역문제를 올바르게 이해하고 접근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개정판은 저자가 수년 동안 ‘지역사회복지론’을 강의해 오면서 준비하고 보충한 자료들을 집약한 것이다. 즉, 사회복지학의 한 분야로서 지역사회복지에 대해 체계적이고 종합적으로 정리하여 사회복지 전공자는 물론, 부전공자, 사회복지 실무자 등에게 지역사회복지의 포괄적인 내용을 소개하는 데 그 의미를 두었다.
개정판에서 가장 크게 달라진 부분은 제1장, 제2장, 제4장, 제5장, 제6장, 제10장, 제15장 등에 초판의 내용을 수정하거나 최근 자료들을 보강하였다. 지역사회복지는 사회복지의 중간(mezzo)과 거시적(macro) 실천방법으로서 사회복지 분야에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목차

머리말


제1부 지역사회복지 총론


제1장 지역사회복지의 개념
제1절 지역사회의 개념
1. 지역사회의 정의
2. 지역사회의 기능
3. 지역사회의 구분
제2절 지역사회복지의 개념
1. 지역사회복지의 정의
2. 지역사회복지의 구성 체계
3. 지역사회복지의 목적

제2장 지역사회복지의 역사
제1절 미국 지역사회복지의 역사
1. 지역사회복지의 생성 과정
2. 지역사회복지의 전문화 과정
3. 지역사회복지의 활동 내용
제2절 한국 지역사회복지의 역사
1. 일제강점기 이전의 지역사회복지
2. 일제강점기의 지역사회복지
3. 지역사회복지의 형성기
4. 지역사회복지의 정착기
5. 지역사회복지의 발전기
6. 지역사회복지 발달 과정의 함의

제3장 지역사회복지의 기본 이론
제1절 이론적 관점
1. 기능이론
2. 갈등이론
3. 지역사회복지의 적용
제2절 지역사회복지의 원칙
1. 지역사회조직의 실천 원칙
2. 지역사회복지의 실천 원칙
제3절 지역사회복지의 개입 과정
1. 지역문제 해결을 위한 지침
2. 지역문제의 해결 과정

제4장 지역사회복지의 개입 모델
제1절 지역사회복지의 기본 유형
1. 지역사회 개발 모델
2. 사회계획 모델
3. 사회행동 모델
제2절 지역사회복지의 모델
1. 로스만의 모델
2. 웨일과 갬블의 모델
3. 테일러와 로버츠의 모델
제3절 지역사회복지 모델에서 사회복지사의 역할
1. 지역사회 개발 모델에서의 역할
2. 사회계획 모델에서의 역할
3. 사회행동 모델에서의 역할

제5장 지역사회복지의 실천 방법
제1절 지역사회복지의 실천 접근
1. 지역사회복지의 기초 접근
2. 지역사회복지의 실천 계획
3. 지역사회복지의 실천 목표
제2절 지역사회복지의 실천 원칙
1. 일반적 원칙
2. 전문적 원칙
제3절 지역사회복지의 실천 과정
1. 지역사회의 문제 발견과 사정
2. 지역사회의 목표 수립
3. 지역사회의 목표 실행
4. 프로그램의 종결 및 평가


제2부 지역사회복지 개입론

제6장 지역사회복지와 주민조직화
제1절 주민조직화의 개념
1. 주민조직화의 정의
2. 주민조직화의 목표
3. 주민조직화의 사회적 기능
제2절 지역사회복지와 주민 참여
1. 주민 참여의 정의
2. 주민 참여의 배경
3. 주민 참여의 형태
제3절 주민조직화의 방안
1. 주민조직화 달성을 위한 과정
2. 효과적인 주민조직화를 위한 사회적 기능

제7장 지역사회복지와 사회행동
제1절 지역사회에서 사회행동의 개념
1. 사회행동의 정의
2. 사회행동의 특징
3. 사회행동의 기능
제2절 지역사회에서 사회행동의 전략
1. 사회행동의 기본 전략
2. 사회행동의 전술적 원칙
제3절 사회복지사와 사회행동
1. 사회복지사의 기본 이해
2. 사회복지사의 역할

제8장 지역사회복지와 사례관리
제1절 사례관리의 개념
1. 사례관리의 정의
2. 사례관리의 대두
3. 사례관리의 필요성
제2절 사례관리의 구성
1. 사례관리대상
2. 사례관리기관
3. 사례관리자
제3절 사례관리의 과정
1. 사례 발견
2. 사례 사정
3. 사례 계획
4. 사례 실천
5. 사례 평가
6. 종결

제9장 지역사회복지와 지방자치
제1절 지방자치제의 개념
1. 지방자치제의 정의
2. 지방자치제의 역사
3. 지방자치제의 가치
제2절 지역사회복지의 본질
1. 지역사회복지의 속성
2. 지역사회복지의 기능
3. 지방자치제와 지역사회복지의 관계성
제3절 지역사회복지의 개입 방법
1. 지역사회서비스
2. 지역사회의 정비
3. 지역사회조직화 활동
제4절 지역사회복지의 발전 방안
1. 사회복지시설의 내실화
2. 지역사회 재원의 확보
3. 전문인력의 양성화
4. 사회복지행정의 개편
5. 사회복지단체의 활성화


제3부 지역사회복지 분야론

제10장 지역사회복지협의체
제1절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개념
1.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필요성
2.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기능
3.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기본 방향
제2절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구조
1. 대표협의체의 구성
2. 실무협의체의 구성
3. 실무분과의 구성
제3절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활성화 방안
1. 민간의 주도와 공공의 지원 필요
2. 협의체위원의 참여 유도와 인식 제고
3. 협의체 운영을 위한 자원 확보
4. 지역사회단체 간의 네트워크 활성화

제11장 지역사회복지관
제1절 지역사회복지관의 개념
1. 지역사회복지관의 정의
2. 지역사회복지관의 구분
3. 지역사회복지관의 기능
제2절 지역사회복지관의 실태
1. 지역사회복지관의 기본 원칙
2. 지역사회복지관의 사업 내용
제3절 지역사회복지관의 모형
1. 지역사회복지관의 문제점
2. 지역사회복지관의 개선 방안
3. 지역사회복지관의 모형

제12장 사회복지협의회
제1절 사회복지협의회의 개념
1. 사회복지협의회의 정의
2. 사회복지협의회의 기능
3. 사회복지협의회의 실천 원칙
제2절 사회복지협의회의 설립 배경
제3절 중앙사회복지협의회
1. 중앙사회복지협의회의 설치 근거
2. 중앙사회복지협의회의 조직 구성
3. 중앙사회복지협의회의 사업 내용
4. 중앙사회복지협의회의 재정 운용
제4절 지방사회복지협의회 _
1. 지방사회복지협의회의 설치 근거
2. 지방사회복지협의회의 조직 구성
3. 지방사회복지협의회의 사업 내용
4. 지방사회복지협의회의 재정 운용

제13장 재가복지센터
제1절 재가복지센터의 개념
1. 재가복지센터의 정의
2. 재가복지센터의 기본 원칙
3. 재가복지센터의 기능
제2절 재가복지센터의 구성 요건
1. 재가복지센터의 운영주체
2. 재가복지센터의 전문인력
3. 재가복지센터의 재정 확보
제3절 재가복지서비스 프로그램
1. 재가복지서비스의 의미
2. 재가복지서비스의 종류
3. 재가복지서비스 프로그램 내용
4. 재가복지사업의 구분

제14장 사회복지공동모금회
제1절 사회복지공동모금의 개념
1. 사회복지공동모금의 정의
2. 사회복지공동모금의 특성
3. 사회복지공동모금의 기본 원칙
제2절 각국 사회복지공동모금의 실태
1. 미국의 사회복지공동모금
2. 일본의 사회복지공동모금
제3절 한국의 사회복지공동모금
1. 사회복지공동모금의 전개 과정
2. 사회복지공동모금의 현황
3. 사회복지공동모금의 종류
4.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과제

제15장 지역자활센터
제1절 자활사업의 개념
1. 자활사업의 정의
2. 자활사업의 의의
3. 자활사업의 대상자
4. 자활사업의 체계
제2절 자활사업의 내용
1. 자활사업의 방법
2. 자활사업의 유형
3. 자활사업의 문제점
제3절 지역자활센터
1. 지역자활센터의 개요
2. 지역자활센터의 운영 원칙
3. 지역자활센터의 주요 사업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 소개

<font color=3366CC><b>박용순(朴容淳)</b></font>

성결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졸업

숭실대학교 대학원 사회사업학과 졸업(문학석사)

숭실대학교 대학원 사회사업학과 졸업(문학박사)

숭실대학교 종합개발연구소 연구원

사회복지법인 가나안 우리집 원장

한국지역복지봉사회 이사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이사

충청남도 공무원임용 7급시험 출제위원

경기도 사회복지전담공무원 7급시험 출제위원

안양시 종합자원봉사센터 소장

현재 성결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장

성결대학교 사회복지학부 교수



<저서 및 논문>

『사회복지학의 이해』(학지사, 2008)

『사회복지개론』(학지사, 2008)

『빈곤과 자립』(학지사, 2001)

『사회복지행정』(공저, 창지사, 2010)

『사회복지수험서』(서현사, 2003)

『사회봉사의 이해(교회의 실천적 관점으로)』(공저, 양서원, 2010)

「영세민 자립을 위한 직업개발에 관한 연구」(1988)

「지방자치제에 따른 지역복지대책의 방향」(1993)

「저소득층 자립을 위한 사회복지적 접근」(1995)

「청소년 성폭력 예방을 위한 사회복지적 접근」(2000)

「노인자원봉사의 활성화를 위한 실증적인 분석연구」(2001)

「도시영세민을 위한 자립프로그램의 연계」(2003)

「탈북자 주거복지실태와 주거지원방안에 관한 연구」(2005)

「만성질환 남성노인의 우울감과 삶의 만족도 간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2012)

「전문직 은퇴자 및 은퇴예정 남성의 자원봉사몰입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사회자원·자원봉사활동의 매개효과 검증」(2012) 외 다수



<font color=3366CC><b>송진영(宋眞影)</b></font>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전산학과 졸업(공학학사)

평생교육진흥원 사회복지학과 졸업(문학학사)

KAIST 일반대학원 정보및통신공학과 졸업(공학석사)

서울기독대학교 일반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졸업(문학박사)

전 중앙노인전문요양원 부원장

현재 성결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겸임교수

반석재가복지원 시설장

반석요양보호사교육원 원장

사회복지사 1급



<저서 및 논문>

『노인복지학』(나눔의집, 2011)

『사회복지시설운영론』(공저, 창지사, 2012)

「중고령자의 직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2007)

「중장년층 남성이 수행하는 다중역할과 삶의 만족도에 관한 구조모형 분석」(2008)

「중년 취업남성의 다중역할 몰입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2009)

「중년 남성의 다중역할 몰입, 자기효능감 및 심리적 안녕감 간의 구조모형 분석」(2009)

「만성질환 남성노인의 우울감과 삶의 만족도 간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2012)

「전문직 은퇴자 및 은퇴예정 남성의 자원봉사몰입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사회자원·자원봉사활동의 매개효과 검증」(2012)

알림

X

알림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