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이 책은 21세기 고령화 사회에 대비하여 노인문제의 해결을 위한 노인복지 차원을 한 단계 높이기 위하여 저술되었다. 이를 위해 외국의 이론을 소개하고, 한국의 상황에 적절한 이론적 기반을 구축하며, 한국노인의 문제를 심도 있게 다루어 현장에 있는 사람과 학문의 과정에 있는 모든 학생들에게 유익한 최신 자료와 내용을 소개하고자 노력하였다.
3판이 출간되고 3년 이상의 시간이 경과하면서 노인복지를 둘러싼 환경은 또다시 변화하였다. 즉, 노인돌보미 바우처사업과 독거노인생활지도사 파견사업이 2009년 1월 노인돌봄서비스사업으로 통합되었고, 같은 해 6월 보건복지부의 2008년 전국노인실태조사 결과가 발표되었으며, 2010년부터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도 본격화되었다. 뿐만 아니라 노인복지법은 2010년 1월(요양보호사 관련), 2011년 4월(노인일자리전담기관 관련), 2011년 6월(노인전문병원 등 관련), 20011년 8월(치매관리법 제정 관련) 연속적으로 개정되었다.
이와 같은 노인복지 환경 변화에 맞추어 각 장의 미비한 관련 부분을 손질하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