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우리가 세계화 시대에 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교사양성 과정이나 교사재교육 과정에서 이 문제를 제대로 다루지 못하고 있다는 점에서, 2008년 한국연구재단(당시 한국학술진흥재단)의 지원을 받아 부산대학교 국제이해교육팀이 발간하는 국제이해교육 시리즈 중의 세 번째 간행물이다. 총서 1-국제사회의 이해(2011, 부산대학교 출판부) 총서 2-국제이해교육의 이론과 실제(2012, 학지사) 총서 3-국제이해교육과 신식민주의 비평(2012, 학지사) 총서 4-동북아 평화와 국제이해교육
머리말 제1부 국제이해교육의 개념과 성격 제1장 세계화 시대의 교육의 방향과 과제 1. 세계화의 개념 2. 세계화의 현실과 과제 3. 세계화 시대의 교육의 방향과 과제 제2장 국제정치교육과 국제이해교육의 관계: 세계관계교육을 위한 시론 1. 서 론 2. 세계관계교육의 용어정립 필요성 3. 세계관계교육의 내용체계와 내용요소 4. 결 론 제2부 신식민주의 관점에서의 국제이해교육 제3장 학교의 국제이해교육 과정에 대한 탈식민주의적 비평 1. 서 론 2. 이론적 배경 3. 탈식민주의 관점에서 재해석한 국제이해교육의 새로운 이론화 4. 결 론 제4장 교과서에 나타난 신자유주의적 세계화에 대한탈식민주의적 시각 1. 서 론 2. 교과서에 나타난 신자유주의적 세계화 3. 탈식민주의적 세계화 교육을 위하여 제5장 영화 속에 재현된 이주여성의 이미지: 오리엔탈리즘을 중심으로 1. 서 론 2. 영화 속에 재현된 이주 중국동포 여성의 이미지 3. 오리엔탈리즘의 대상으로서의 이주여성 4. 결 론 제6장 비판이론의 시각에서 바라본 국제이해교육: 영화 텍스트를 통한 이해 1. 서 론 2. 여가를 채워 주던 영화가 내 삶의 일부가 되고 학문적 동반자가 되다 3. ‘개 같은 세상’과 ‘자유롭지 않은 세계’에서 살아가는 이주민은 ‘빵과 장미’ 모두 필요하다 4. ‘인 디스 월드’에 난민은 존재하는가 5. 숨길 수 없는 식민주의 만행에 대한 상기 6. 나는 ‘시리아나’를 보고 국제개발을 비판하면서 커피를 마시고 있다: Hypocrisy! 7. 전쟁과 여성, 일상 속 위선 그리고 감독은 7년간 위안부의 삶을 담고, 지식인은 부끄러울 뿐이다 8. 성인들의 병정놀이 속 아동들의 세계 9. 인간 중심 개발 이념이 재창조한 암울한 지구의 생태환경 10. 결 론 제3부 한국에서 유학생활을 하는 대학생과 대학원생의 학업과 삶 제7장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 대학생활 적응과정 1. 서 론 2. 학부 대학생의 적응과정 3. 대학원생의 적응과정 4. 한국어 적응과정 5. 결 론 찾아보기
로그인 후 확인하실 수 잇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