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일은 어떤 사람들이 한국을 이어가야 하는가? 그들에게는 어떤 자질이 필요한가? 한국의 오늘은 정치,경제, 사회, 문화 등 여러 시각에서 성찰하고, 그 성찰의 토대 위에서 내일의 염원을 투사해야 할 것이다. 이런 성찰과 투사에서 나의 주된 관심은 교육이다. 교육은 사람다운 사람을 길러내면서 나라다운 나라를 만들어 가는 일이다. 따라서 교육에 관한 성찰은 우선 나라다운 나라의 내일을 경영할
■ 머리말 서장 01 전인 내일의 한국인은 기본적인 지·정·의·체를 고루 그리고 높게 갖춘 전인이기를 바란다. 내일은 좁고 단순한 지식·기술만으로는 지탱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선비·육예·신사도 / 전인적 생리구조 / 인간적 기대 / 인력의 개념 /고급 인력 / 전인교육 02 공인 내일의 한국인은 남과 공공을 깊이 생각하는 공인이기를 바란다. 빈곤의 시대에 부득이 ‘나’부터 생각했던 심성으로는 내일을 감당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거울뉴런과 편도체 / 국력·국격·국혼 / 민주 성공의 요건 / 자유의 개념 / 공인 함양 03 생산인 내일의 한국인은 장인정신과 창의력을 지닌 유능한 생산인이기를 바란다. 내일의 세계는 범상하고 진부한 생산력으로는 이겨 내지 못하기 때문이다. 소명으로서의 직업 / 일의 세계 / 장인정신 / 성취동기·기업가 정신/ 창의력·영재 / 집중과 이완 / 창의의 풍토 04 자율인 내일의 한국인은 책임 있는 자유를 행사하는 역량을 지닌 자율인이기를 바란다. 내일은 타율의 풍토로는 경영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인간적 질감 / 사회적 필요 / 자아: 인간실존 / 자아 상실 / 소외 / 자치: 대학의 경우 / 자율의 역량 05 내재가치 내일의 한국인은 사물의 내재적인 보람에 젖어들 수 있는 사람이기를 바란다. 내일은 사물의 쓸모만 생각하는 수단주의적 풍토만으로는 번영할 수가 없기 때문이다. 내재가치와 외재가치 / 수단주의의 폐해 / 절정경험 / 행복 / 자체목적주의 / 즐겁고 감탄스러움 06 역사적 현재 내일의 한국인은 과거와 미래를 함축하는 역사적 현재를 사는 사람이기를 바란다. 내일에는 바로 눈앞만 보는 단기적인 안목으로는 온갖 차질을 빚을 것이기 때문이다. 과거·현재·미래 / 카르마 / 역사의식 / 미래의식 / 변화관 / 사차원 07 보편과 특수 내일의 한국인은 보편과 특수 사이를 슬기롭게 오가는 사람이기를 바란다. 세상은 보편과 특수의 합작품이기 때문이다. 존재: 다 같고 다 다르고 / 진·선·미 / 이론과 실제 / 문화의 절대·상대·보편주의 / 열림과 닫힘 / 다양 속의 통일성 08 자연과의 조화 내일의 한국인은 자연과의 조화 속에서 자연과 더불어 살아가는 사람이기를 바란다. 인간의 삶을 지탱하는 자연의 파괴와 착취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예속·정복·조화 / 생명 / 환경 / 생존의 철학 / 생태 속의 삶 / 시애틀의 편지 종 장 교육세력 / 네 가지 교육방법 / 교육력 / 교육: 철학·과학·예술
로그인 후 확인하실 수 잇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