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일회기치료는 1년 동안 회기 이전 또는 후속 치료회기 없이 대면 면담을 단 1회만 하는 것으로, 심리치료 중 가장 빈번한 것이다. 모든 치료자는 계획적이든 아니든 분명히 단일회기치료의 경험이 있고, 앞으로도 그럴 것이다. 이 책은 일회 면담을 통해 환자의 삶에 중요한 변화를 촉진시키는 방법을 보여 주며, 또한 창조성과 효과성을 공고히 지지하기 위해 단일회기치료를 이용하고, 계획하며, 일반적인 치료 실제를 변화시키는 방법을 설명한다.
01 첫 번째 회기가 유일한 치료회기가 되는 경우 단일회기치료와 정신분석의 역설적 관계 다양한 장면에서 나타난 단일회기치료의 빈도 중도탈락인가, 기적적인 변화인가 단일회기치료와 심리진단 단일회기치료의 세 가지 유형 계획된 단일회기치료에 대한 공식적 연구 02 최초 통화: 사전 선별 및 준비 첫 회기에 누가 와야 하는가 사전 과제 피해야 할 일 누가 단일회기치료를 통해 이득을 얻을 것인가 위기 상황에서 환자가 전화할 때 03 효과적인 단일회기치료: 단계적 지침 시작하기 변화를 위한 준비성 육성하기 다른 방식으로 시작하기 중심화음에 초점 맞추기 환자의 강점 찾기 회기 내에서 해결책 연습하기 마지막 몇 분간의 관심사 허용하기 최종 피드백 주기 미래의 변화를 위한 문호개방 정책 추적 평가 04 환자에게 역량 이양하기 메시지와 메타메시지 치료자의 통제를 벗어난 요인 병리가 압도적일 때 치료 기제를 역량 이양하기 기다림으로써 역량 이양하기 반대되는 세계관을 통해 환자에게 역량 이양하기 치료하지 않는 것이 가장 좋은 치료일 때 변화의 자연적 과정 복잡한 문제에 대한 단순한 해결책 자세히 질문함으로써 역량 이양하기 열패자로서의 치료자 05 단일회기치료의 실제: 사례 회기 시작하기 치료의 초점 찾기 은유를 활용하여 작업하기 해결책 연습하기 강화시키기 최종 개입 시도 마지막 몇 분간의 관심사 추적 평가: 성과 06 실패로부터 배우기 치료자가 너무 일찍 종결하는 때 치료자가 미숙하게 개입할 때 환자가 치료자에게 버림받았다고 느낄 때 환자가 치료자를 거부할 때 몇 번의 추가 회기가 더 필수적일 때 얼마나 좋은 것이 좋은 것인가 07 단일회기치료를 촉진시키는 태도 매 회기를 전체로서 보기 다다익선은 늘 옳은가 과학으로서의 심리치료 완치의 신화 환자 순응의 신화 탄생과 성장의 양육 역할로서의 치료 부 록 부록 A: 추적 평가 면담 부록 B: 시간과 자금 관리를 위한 조언
로그인 후 확인하실 수 잇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