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이 책은 적합한 준거설정 방법을 선택하여 실시하거나 전체 준거설정 절차를 감독 또는 담당해야 하는 사람들을 위한 것이다. 따라서 이론적이고 학문적인 논의에 초점을 두기보다는 보다 실용적이고 실질적인 준거설정을 위한 실시방법에 초점을 두었다.
이 책의 특징은 준거설정에 대한 논의뿐 아니라 각 방법에 대한 역사, 변화과정, 개념과 방법 설명, 그리고 각 방법을 적용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작업지, 위원회 운영, 준거를 설정한 후 준거설정자 간의 일치도를 높이는 방법, 준거를 결정하고 난 이후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하여 매우 자세한 내용을 담았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 책은 최근 중등교육 현장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홍익인간의 교육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학교 내신이 절대평가로 전환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대두되는 우리의 상황에서 많은 도움을 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