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사회는 전문적 상담자를 요구하고 있으며, 동시에 활발한 활동을 요구한다. 그러다 보니 상담자의 전문적 활동에 개입되는 변수도 매우 다양해졌다. 단순히 자신이 가지고 있는 상담심리학적 지식이나 경험만으로 윤리적인 평가를 하거나 딜레마에 대한 판단을 하는 것은 어림없다. 저자들은 이러한 전문적 상담의 학문적, 직업적 특성과 시대의 요청에 따라 이 책을 집필하게 되었다.
이 책의 구조는 2부로 나누어 1부는 상담윤리의 기초를 다루었고, 2부는 다양한 상담 현장의 윤리를 다루었다. 1장은 상담 현장의 윤리에 들어가기 전에 윤리와 관련한 개념을 이해하기 위한 장으로 오리엔테이션 성격이 크다. 2장은 한국상담심리학회 윤리강령 전문을 내용적으로 구분하면서 소개하고 있는데, 상담자의 전문성과 그 활동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3장은 상담윤리 중 핵심에 해당하는 비밀보장과 사전 동의만을 다루었다. 2부 상담 현장의 윤리에서 4장은 상담교육 현장의 윤리를 다루었고, 5장은 상담 접근방식(mode)에 따른 상담윤리와 개설된 상담소의 윤리를 다루었다. 마지막으로 6장은 특별한 상담 문제와 관련한 윤리를 다루었다. 특별히 윤리적 민감성이 요구되는 문제들로 뽑아 다루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