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최근 국내에서도 교정시설 교화 프로그램이 범죄자들의 건전한 자아상 확립과 사회성 함양을 도와 사회 복귀를 촉진한다는 데 의견이 모아짐으로써 미술치료를 포함한 다양한 심리치료 프로그램을 도입하고자 하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교정시설의 처우 프로그램이 사회 복귀를 위한 재활을 강조하면서 직업 훈련, 교과 지도, 생활 지도 및 복지 지원 등 물리적 측면뿐 아니라 심리적 재활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미술치료는 이를 위한 또 하나의 유용한 접근으로서, 범죄자는 미술치료를 통해 자신의 잠재성과 긍정성을 발견하고, 스스로 선택하고 결정하는 과정을 통해 자존감과 자기통제력을 함양하여 보다 건전한 시민으로 성장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교정시설 서비스가 범죄자들에게 수용 기간 동안 그리고 출소 후에도 법을 준수하고 유익한 삶을 살도록 도와주는 본래의 취지를 이행하는 것이라 할 때, 이 책은 그것을 달성하기 위한 중요한 안내서가 될 것임에 틀림없다. 이 책은 강도 높은 보안을 필요로 하는 장기수부터 청소년, 여성 수용자, 보호관찰 중이거나 정신장애로 상처 입기 쉬운 수용자들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영역의 내용을 다루고 있으며, 이 책에 소개된 실제 사례들이 이를 잘 설명해 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