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이 책은 우리나라에서 추진되어 온 주요 교원정책을 추출하여 정책의 배경과 내용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토대로 문제점을 지적하고 이에 대한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고자 노력하였다. 일종의 우리나라 교원정책의 사례분석 논고라고 할 수 있다.
구성을 살펴보면, 우리나라의 교원정책을 ‘각 정부의 교원정책’(제1부), ‘직전 단계의 교원정책’(제2부), ‘현직 단계의 교원정책’(제3부), ‘근무환경의 교원정책’(제4부) 등 4개의 영역으로 크게 분할하고, 각 부의 제목에 부합하는 개별 교원정책들을 다양한 접근 방법에 의해 분석하고 진단하였다. 우선, 제1부 ‘각 정부의 교원정책’에서는 「국민의 정부」 「참여정부」 「이명박 정부」의 교원정책 방향과 정책 방안들을 분석·진단하였다(제1장∼제3장). 제2부 ‘직전 단계의 교원정책’에서는 이 단계에 해당되는 교원수급, 교원양성, 교육실습, 임용정책을 문헌 및 조사 분석 방법에 의해 분석하고 대안을 제시하였다(제4장∼제7장). 제3부 ‘현직 단계의 교원정책’에서는 이 단계에 해당되는 교원연수, 평가, 근무성적평정, 교원승진제도를 신제도주의적 접근, 정치학적 분석, 조사 분석 방법 등 다양한 관점에서 조망하였다(제8장∼제11장). 마지막으로, 제4부 ‘근무환경의 교원정책’에서는 교원의 근무여건에 해당되는 교원업무, 교원보수, 교직단체 등에 대해 문헌 분석 방법을 통해 사안을 분석하고 대안을 제시하였다(제12장∼제14장). 특히, 각 정부의 교원정책에 대한 입문적 분석에 이은 교원정책의 직전 단계, 현직 단계, 근무환경별 장 구성은 Castetter와 Webb 등의 교육인사행정 과정 영역 분류 방식을 저자가 우리 현실에 맞게 응용적으로 시도한 것임을 밝혀 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