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우리나라 통합교육은 1982년부터 시행된 제4차 교육과정에서 처음으로 초등학교 1, 2학년에 한해 통합교과를 도입한 이래 2007년 개정 통합교육과정까지 발전해 왔다.
아동의 심리적 발달을 고려하여 초등학교에서부터 통합교육을 실시하고 있는데, 초등학교 교육활동은 학습자의 지적·정서적·신체적 발달 측면과 교수의 효과 측면, 실제적인 유용성 측면에서 교육과정의 통합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현장에서 정상적인 통합교육이 실현되기 위해서는, 사회 규범과 정책의 변화, 통합교육에 대한 행정기관의 지도력, 학교장의 관심과 학교 관리자의 인식, 학교의 풍토를 포함한 심리적 환경, 교사들 간의 협력적 교수문화, 현장교사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태도·가치관의 조성 등이다. 아울러 현장교사들이 통합교육을 실시하는 데 전문적 지식의 부족과 통합교육에 대한 지도기술의 부족으로 수업 운영 등의 어려움을 갖고 있다는 점에서 이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교사들이 통합교육을 실시하는 데 필요한 전문적인 지식과 지도기술, 교수·학습 자료를 다양하게 제공하는 것은 통합교육의 효율적인 실천이라는 측면에서 반드시 선행되어야 한다. 이러한 현장의 요구를 고려하여 저자들은 교사들이 통합교육을 시행할 때 통합교과에 대한 이론과 실제에 대한 이해를 형성할 수 있는 교재로서 이 책을 개발하게 되었다. 이 책이 초등학교 교사들에게 저학년 통합교과를 지도하는 데 유익한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