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이 책은 저자가 최근 10여 년간 대학과 대학원에서 교육철학 및 교육사 관련 분야의 강의를 해 오면서 우리의 교육이 지나치게 서양 일변도의 교육을 하고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서양 문물의 유입과 함께 들여 온 서양교육의 우세 속에서 동양적 전통교육은 그 중요성의 인식에도 불구하고 뒷전으로 밀려나게 되었다. 저자는 이러한 맥락에서 우리 동양의 가치의식이 강조되는 교육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따라서 이 책에서는 전통교육의 내용을 바탕으로 그것이 오늘날 현대교육에 던지는 시사점을 찾아 소개하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 그리고 어떻게 하면 제대로 적용할 수 있는가 하는 문제에 초점을 맞추었다.
동양의 교육사상의 범주는 우선 중국의 교육사상과 우리나라의 교육사상으로 양분하여 서술하기로 하였다. 중국편에서는 선진시대의 공자, 맹자, 순자의 교육사상을 살펴보고, 묵자의 교육사상 그리고 노자와 장자의 교육사상을 살펴보았다. 그러고 나서 송대 주자와 명대 왕양명의 교육사상을 살펴보았다. 한국편에서는 우리나라 교육에 큰 획을 그었던 인물들을 중심으로 다루었다. 대표적 유학자였던 이황과 이이 그리고 실학자였던 정약용과 최한기로 이어지는 전통 유가적 교육과 실학적 교육의 큰 틀을 살펴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