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검색
MY
자원봉사의 이해
저자 : 김동배, 김선아, 이서원, 장신재, 조학래, 홍영수
페이지 : 336p
  • 가격
  • ISBN
  • 발행일
  • 판형
  • 제본
  • 수량
  • 15,000원
  • 978-89-6330-202-7
  • 2009-09-01
  • 크라운판
  • 반양장

도서자료

강의용 PPT는 PC에서만 다운이 가능합니다.(*교수회원만 가능)

내용

한 나라의 민주주의가 어느 정도 달성되었는지를 가늠하는 데에는 자원봉사자와 자원봉사기관이 얼마나 많이 있는지도 중요한 척도가 된다. 특히 빈부격차, 차별과 소외, 세대 간의 갈등, 환경오염, 국제적 분열 등 국내외의 다양한 문제를 정부가 모두 해결할 수 없기 때문에, 21세기에 자원봉사는 사회 발전의 중요한 화두로 등장하였다.
미국 등 여러 선진국에서 자원봉사는 민주시민의 내부에 잠재하는 무한한 정신적·물질적 자원을 자발적으로 동원하여 효과적인 사회복지와 사회 개발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하며, 개인에게는 참여를 통해 사회통합감을 증진시키고 자아실현에 도움을 주는 활동으로 인정되고 있다.
우리 사회도 최근 자원봉사자가 전체 성인의 20%를 상회하면서 이제는 자원봉사의 선진국 대열에 합류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나 자원봉사자가 만족스러운 활동을 할 수 있는 자원봉사 프로그램의 개발, 자원봉사 관리자의 질적 향상, 국가의 자원봉사 지원제도 등에 있어서는 보다 많은 노력을 해야 하는 상황이다. 정부는 돈 안 드는 복지를 위해 자원봉사자를 활용할 것이 아니라 의식 있는 시민들로 구성된 튼튼한 시민사회를 만들기 위해 자원봉사를 육성할 필요가 있다.

저자들은 수년간 자원봉사를 강의하면서 대학생들이 자원봉사를 정확히 이해하고 실제 자원봉사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교과서를 만들자는 의견에 동의하였고, 이 책의 집필에 참여하게 되었다.
이 책은 자원봉사를 서론적으로 설명하고, 대학생들이 관심을 가질 만한 여러 분야의 자원봉사활동을 제시하였으며, 자원봉사 프로그램과 관리과정에 대한 내용을 담았다.

목차

서 문

제 1 장 자원봉사의 개념과 이론

1. 자원봉사의 개념
2. 자원봉사활동의 이론

제 2 장 자원봉사의 국내외 동향

1. 자원봉사의 국제 동향
2. 자원봉사의 국내 동향

제 3 장 자원봉사자의 이해

1. 자원봉사의 동기
2. 자원봉사자의 역할
3. 자원봉사자의 자세

제 4 장 아동 분야의 자원봉사

1. 아동에 대한 이해
2. 아동을 위한 자원봉사기관

제 5 장 청소년 분야의 자원봉사

1. 청소년에 대한 이해
2. 청소년을 위한 자원봉사기관

제 6 장 노인 분야의 자원봉사

1. 노인에 대한 이해
2. 노인을 위한 자원봉사기관
제 7 장 장애인 분야의 자원봉사
1. 장애인에 대한 이해
2. 장애인을 위한 자원봉사기관
제 8 장 여성 분야의 자원봉사
1. 여성에 대한 이해
2. 여성을 위한 자원봉사기관

제 9 장 보건의료 분야의 자원봉사

1. 보건의료의 이해
2. 보건의료 분야의 자원봉사기관

제 10 장지역사회 및 시민단체에서의 자원봉사

1. 지역사회 및 시민단체의 이해
2. 지역사회 및 시민단체 자원봉사기관

제 11 장 문화 및 국제협력 분야의 자원봉사

1. 문화 분야의 자원봉사
2. 국제협력 분야의 자원봉사
제 12 장 자원봉사 프로그램 개발
1. 자원봉사 프로그램의 성격
2. 자원봉사 프로그램 개발과정
3. 자원봉사 관리자의 역할과 기능

제 13 장 자원봉사 관리과정
1. 사전적 관리과정
2. 모집과 홍보 과정
3. 면접과 선발 과정
4. 교육과 훈련 과정
5. 배치와 지도감독
6. 사후적 관리과정

제 14 장 자원봉사의 과제와 발전방향
1. 자원봉사 프로그램 개발 강화
2. 자원봉사 지원정책 강화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 소개

<b>김동배</b>

미국 미시간 대학교 대학원에서 도시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특별시 사회복지공동모금회 부회장, 한국교회봉사단 공동대표 등을 역임하였으며, 현재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교수이자 동교 사회복지센터 소장이다.



<b>김선아</b>

미국 워싱턴 주립대학교에서 사회복지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Catholic Social Services 사회복지사를 역임하였으며, 현재 한국사이버대학교 사회복지학부 교수이자 동교 산학협력단장이다.



<b>이서원</b>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에서 사회복지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디지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이며, 한국가정법률상담소 교육위원, (사)가족아카데미아 가족연구소 교육팀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b>장신재</b>

연세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에서 사회복지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지방 사회복지직 공무원 임용시험문제 출제위원, 보건복지부 사회복지시설 평가위원 등을 역임하였으며, 현재 서울장신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이자 동교 밀알사회복지연구소장이다.



<b>조학래</b>

연세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에서 문학박사학위를 받았다. 송강종합사회복지관장을 역임하였으며, 현재 침례신학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이자 동교 기획실장이다.



<b>홍영수</b>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에서 사회복지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삼성의료원 주임사회복지사, 아산시 노인종합복지관장 등을 역임하였으며, 현재 순천향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다.

알림

X

알림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