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이 책은 사회과 평가가 일반교육학에서 접근하는 평가와 어떻게 다른지 그 정체성을 모색하려는 문제의식으로부터 출발하였다. 사회과 평가는 일반교육학에서 접근하는 평가와 평가라는 분모를 공유하는 한편 사회과 교육목표, 내용, 교수-학습의 맥락 속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회과라는 특수성을 고려해야 한다.
이 책은 교육평가의 일반 이론과 개념이 사회과 평가 상황에 적용되는 사례를 소개하고, 사회과 교사로서 갖추어야 할 실제적 평가 실행 능력을 기르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그래서 평가 전문가로서 사회과 교사가 갖추어야 할 최소한의 기본 능력이 무엇인지를 고려하여 이해 가능한 수준으로 구체화하여 제시하고 연습과 실습을 통하여 실천 능력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책은 총 12장으로 구성되었는데 크게 네 부분으로 구분된다. 첫째, 제1장부터 제3장까지는 사회과 평가의 목적과 방향 등을 안내하는 부분으로, 제1장은 사회과 평가 목적과 유형, 제2장은 사회과교육 목표와 평가영역, 제3장은 사회과 평가의 방향과 절차를 다룬다. 둘째, 제4장부터 제6장까지는 평가도구 개발과 관련된 부분으로 제4장은 선택형 문항 개발, 제5장은 서술형·논술형 문항, 제6장은 수행평가 도구 개발을 위한 장이다. 셋째, 제7장부터 제9장까지는 평가 결과를 분석·해석하는 능력을 기르기 위한 부분으로 제7장은 사회과 문항의 난이도와 변별도, 제8장은 사회과 검사의 신뢰도와 타당도, 제9장은 점수 보고와 문항 반응 경향성 분석을 다룬다. 마지막으로 사회과 평가의 주요 주제를 다룬 부분으로 제10장은 사회과 학업성취도 평가, 제11장은 사회과 교육과정 평가, 제12장은 사회과 교사 평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