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박증이 강박장애 또는 강박신경증이라는 병명으로 정신과 분야에서 분석과 치료의 대상이 된 지는 오래되었지만, 과거에는 유병률이 높지 않다고 여겨져 주목을 받지 못하였다. 하지만 최근에는 강박증의 유병률이 생각보다 많으며, 특히 강박증상과 관련이 있다고 보이는 증세, 즉 신체이형증, 건강염려증, 틱장애, 뚜렛 증후군, 섭식장애, 충동조절장애, 강박적 성격장애 등이 DSM-V에서는 ‘강박관련장애’에 해당되는 질환군에 포함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지금까지의 환자 수보다 훨씬 더 많은 수의 강박증 관련 환자가 있을 것으로 추측된다. 우리는 일상생활에서 무수히 많은 자극을 받는다. 그때 정상적인 뇌는 들어오는 자극이 다른 자극으로 바뀌면 그에 따라 적절한 반응을 보인다. 즉, 이전의 자극을 처리하는 직접신경회로는 그 작용을 약화시켜야 하고, 더불어 기존의 자극에 대한 처리를 억제시키는 간접신경회로는 오히려 활성화되어야 한다. 하지만, 강박증 환자의 뇌에서 직접신경회로는 활성이 감소되지 않고, 억제 기능을 하는 간접신경회로는 활성화되지 않는다. 따라서 새로운 자극이 들어오더라도, 기존의 자극에 맴돌면서 반복적인 강박사고와 행동에서 벗어날 수가 없는 것이다. 이 책의 집필진은 약물치료를 하더라도 직접신경회로의 활성화는 정상화되는 데 비해, 간접신경회로는 변화가 없다는 사실을 관찰함으로써 강박증 치료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적용할 가능성을 열었다. 그러던 중에 좀 더 체계적인 강박증에 대한 전문가용 서적의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정신과 전문의와 강박증을 전문으로 하는 교수들이 강박증에 대한 통합적 이해를 높일 수 있는 이 책을 출간하게 되었다.
제1부 강박증상의 현상학적 이해 Chapter 1 강박증의 개관 및 역사적 변천 Chapter 2 강박증의 임상양상 Chapter 3 소아-청소년기 발병 강박증 Chapter 4 강박관련장애와 병적도박 제2부 강박증의 원인 및 생물학적 연구 Chapter 5 강박증의 원인에 대한 이론들 Chapter 6 강박증의 신경생물학적 모델 Chapter 7 강박증의 신경심리학 Chapter 8 강박증의 유전학 Chapter 9 강박증의 구조적 뇌영상 연구 Chapter 10 강박증의 기능적 뇌영상 연구 Chapter 11 강박증의 사건관련전위 연구 Chapter 12 강박증에서의 삶의 질과 사회인지 제3부 강박증의 치료 Chapter 13 강박증의 약물치료 Chapter 14 강박증의 행동치료 Chapter 15 강박증의 인지 이론과 치료 Chapter 16 난치성 강박증의 수술적 치료 Chapter 17 강박증에서의 경두개자기자극술 Chapter 18 강박증의 장기치료 부록 서울대학교병원 강박증클리닉의 운영 현황 및 소개
로그인 후 확인하실 수 잇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