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이 책의 서론에서는 이러한 연속적 교육이해에 대한 비연속적 교육이해의 가능성을 제안하고 있다. 다음으로 그는 위기, 각성, 충고, 상담, 만남 등의 개념을 통해 실존철학에서 중요하게 파악된 삶의 현상들과 비연속적인 삶의 과정들이 어떻게 교육학 안에서 의미 있게 이해될 수 있는지를 밝히고 있다. 우리는 이러한 개념들에 관한 고찰을 따라가면서 실존철학, 즉 본질적으로 삶에 주어져 있는 비연속적인 형식들이 삶과 교육에서 갖는 근본적이고도 중요한 의미들을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다.